업무메일에서 "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라는 표현 대신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양해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바꿔서 표현하는 게 좋다는 의견이네요. 저도 메일을 쓰다 보면 사과의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처음부터 "죄송하다"고 하면 혹시나 나중에 더 큰 일이 벌어졌을 때 "죄송하다"보다 강한 사과의 표현을 사용해야 해서, 처음에는 이 트윗의 의견처럼 에둘러 표현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아쉽다/안타깝다 - 미안하다 - 죄송하다...고 하다가 나중에 정말 큰 일이라면 "송구합니다"라는 표현도 사용합니다. 물론 이 정도가 되면 메일로 사과하면 안 되고 직접 찾아뵈어야겠죠. 

초이 on Twitter

X (formerly Twitter)

초이 on Twitter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9월 28일 오전 1:4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연간 LLM 호출 비용 25% 절감, 인턴이 도전한 시맨틱 캐싱 도입기

    ... 더 보기

    연간 LLM 호출 비용 25% 절감, 인턴이 도전한 시맨틱 캐싱 도입 기록

    Medium

    연간 LLM 호출 비용 25% 절감, 인턴이 도전한 시맨틱 캐싱 도입 기록

    조회 49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

    제미나이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 더 보기

    2017년부터 대기업을 대상으로 Corporate Venturing을 사업포트폴리오 중 하나로 직접해왔던 우리 회사 입장에서 코로나 끝나고 1년 지난 시점부터 이런 변화에 대해 이야기해오기는 했는데, 정작 실제 구체적인 수치로 증명이 된 것을 보니 또다시 가슴이 아프다. 사업하는 입장에서 이런 흐름에 맞춰 3년전부터는 CV도 여전히 하기는 하지만 CV가 아니라 대기업이 스타트업 마인드와 방법론을 통해 스스로 신사업과 신제품/서비스를 도출해내는 것으로 포커스를 바꿔서 지금까지 해오고 있다.

    ... 더 보기

    대기업 벤처 투자도 줄었다, 1년 만에 53% 감소 | 중앙일보

    중앙일보

    대기업 벤처 투자도 줄었다, 1년 만에 53% 감소 | 중앙일보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