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이 불행함을 쉽게 느끼는 이유> 1. 무한한 선택은 사람들에게 2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첫 번째는, 선택은 자유보다는 마비를 일으킨다는 겁니다.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너무 많으면, 사람들은 선택 자체를 매우 힘들어합니다. 3. 두 번째는, 우리가 마비 현상을 극복하고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선택권이 적은 상태에서 선택했을 때 보다 선택권이 많을 때 선택하는 것이 덜 만족스럽다는 겁니다. 3.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첫 번째 이유는 선택지가 많으면 다른 것을 골랐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상상을 더 쉽게 하기 때문이고, 이 상상속에서 만들어낸 대안들이 당신의 선택을 후회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4. 그리고 후회하는 만큼 선택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여러분이 훌륭한 선택을 했더라도 말이죠. 5. (다시 말해) 옵션이 더 많을수록, 당신은 선택한 것에 대해 후회하기 쉽습니다. 6. 만약에 세상에 한 가지 종류의 청바지 밖에 없는 상황에서, 그 청바지에게 당신에게 맞지 않는다면, 당신은 이 불만족의 원인을 세상에서 찾을 겁니다. 세상에 한 가지 종의 청바지 밖에 없는데, 당신이 무엇을 더 선택할 수 있었겠어요. 7. 그런데 말이죠. 세상에 수백개 스타일의 청바지가 있는 상황에서 당신이 산 청바지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당신은 누구 탓을 할까요? 명확하게도 당신은 당신 탓을 할 겁니다. 더 잘 고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이죠. 8. (선택지가 많은 상황에선) 사람들은 좋은 선택을 하더라도, 그것에 실망하고 결국엔 자신을 자책하게 됩니다. 9. 지난 한 세기동안 사회가 산업화될 수록 우울증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저는 우울증 환자와 자살이 늘어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로, (선택 가능성의 폭발로 인해) 사람들의 기대치가 너무 높아짐으로 인해 발생한 실망감에 따른 것이라고 믿습니다. 9. 결과적으로 우리는 (과거보다) 객관적으로 잘 살고 있지만, (수많은 선택지로 인해) 우리가 느끼는 기분은 더 나빠진 것이죠. - 배리 스월츠

The paradox of choice | Barry Schwartz

YouTube

The paradox of choice | Barry Schwartz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1일 오후 10: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어제 저커버그 인터뷰에서 연구자들을 돈으로 매수..아니 돈으로 경쟁사들에게서 빼오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 답했는데요.


    이는 잘못된 말이라며, 탑티어 연구자들의 욕망(!)은 GPU를 최대한 많이 사용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고, 그래서 작은 팀으로 무한대의 GPU를 쓸 수 있게 해 준다는 것으로 유혹(?) 했다고 합니다. (*욕망, 유혹 같은 표현을 저커버그가 쓴 건 아님)


    ... 더 보기

    조회 622



    회피를 해야 할까요? 방안을 찾아야 할까요?

    팀이나, 파트등의 조직에서의 생활을 하다 보면은 나의 의사와 다른 상황이 펼쳐지는 일이 꽤 많은 빈도로 발생이 되는거 같아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조직 생황을 하였지만 가장 어려운 것이 나의 의사와 다른 생각을 가지는 일들이 생기는 것들 같아요.

    ... 더 보기

    ⟪토스가 만든 리서치툴, TNS⟫

    ... 더 보기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toss.tech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 

    저장 3 • 조회 867


    혹시 Cursor 채팅만 사용하시나요? Agent 쓰는 방법!

    Cursor와 함께라면, 더이상 에디터는 단순한 입력 도구가 아닌

    ... 더 보기

    < 성공한 사람들은 ‘의도적으로’ 선택한다 >

    1. '의도적'은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어다. 우리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일한 핵심 단어일 수도 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