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불가능한 개발자가 되는 법 | 존 카맥 (John Carmack)

개발자, 디자이너, 사업가, 기획자, 예술가 그 영역과 직업을 떠나서 특정 레벨 이상의 성취를 만든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듣다보면 결국 '가치'라는 개념으로 수렴하게 된다고 느낍니다. 기술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돈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원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정말로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가치라는 개념을 제가 오래 전에 이해하기로는 유저의 수, 서비스라면 서비스를 접속하는 유저의 리텐션, 유료화 고객의 수, 이런 것들이라고 생각을 했는데요. 요즘 들어서는, (계속 비슷한 이야기만 듣다보니) 가치라는 개념이 단순 보이는 데이터들 이상의 것으로 드러나지 않나 싶습니다. 어찌보면 철학의 개념으로도 확장될 수 있고, 사람들들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라는 어려운 질문으로 확장되기도 해서 머리가 지끈하기도 하지요. 너무 멀리 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그냥 한 번 질문을 던져보고 싶었습니다. 결국 세상을 앞으로 한 발자국 나가게 만드는 사람들은, 그 스케일의 차이는 있겠지만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가치를 만드는 사람일테니까요. 그 가치를 만드려고 하는 노력은 한 명의 기술과, 지식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그 진심으로 오랫동안 고집을 부려야 하는 것이고요. 참으로 어려운 이야기입니다. 제가 제일 존경하는 사업가이자, 게임 프로듀서, 개발자 (뭐라고 직위를 붙여야할지 모르겠네요) 존 카맥의 인터뷰입니다.

대체불가능한 개발자가 되는 법 | 존 카맥 (John Carmack)

www.youtube.com

대체불가능한 개발자가 되는 법 | 존 카맥 (John Carmack)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4월 19일 오후 12:07

 • 

저장 223조회 5,272

댓글 1

  • 간혹 생각하던 주제였던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치(value)는 인간의 시간을 얼만큼 활용할 수 있게 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봅니다. 인간에게 제일 중요한 가치는 ‘시간’이라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활용의 의미는 원래 10 단위의 시간이 드는 일을 1단위로 줄인다던지, 원래 1단위 시간 밖에 즐길 수 없었던 것을 10단위 동안 즐길 수 있게 만들던지 하는 일입니다. 내가 x10배 또는 1/10배의 시간과 맞바꿀 수 있는 일을 만들었고 거기에 실제 사용자 수를 곱하고 그들의 시급을 곱해서 나온 숫자만큼 부가가치를 창출했다고 생각이 듭니다. 프로그래밍은 이런 가치를 창충하는데 최적의 수단이라고 생각이 들구요. 좋은 화두를 던져주셔서 생각정리겸 떠들고 갑니다. 핳

함께 읽은 게시물

요구사항 변화에 따른 프로젝트 구조 확장 ⛏

... 더 보기

요구사항 변화에 따른 프로젝트 구조 확장_Bradley 멘토님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요구사항 변화에 따른 프로젝트 구조 확장_Bradley 멘토님

 • 

저장 20 • 조회 1,540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taetaetae.github.io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저장 22 • 조회 2,311


🧭 우리만의 디자인 시스템,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 더 보기

우리만의 디자인 시스템,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 DaleStudy/daleui · Discussion #392

GitHub

우리만의 디자인 시스템,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 DaleStudy/daleui · Discussion #392

개발자라면 키보드는 다양하게 써봐야죠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 개발자들이 하는거


바이브 개발 - 일반사람이 하는거


... 더 보기

컨텍스트 스위칭 - AI 코딩 부작용

... 더 보기

컨텍스트 스위칭 - AI 코딩 부작용

K리그 프로그래머

컨텍스트 스위칭 - AI 코딩 부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