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코드는 왜 만들까?

요즘 최대의 관심사는 단언컨대 "테스트 코드"입니다. 혹자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 시간이 부족해진다는 이유로 기피하곤 합니다. 저 역시 그랬으니 그 마음을 전혀 이해 못하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만들수록 테스트의 중요성은 점점 증가했던 것 같고 특히 "테스트 코드"는 코드 품질의 향상이나 리팩토링(혹은 코드를 수정하는 행위)를 할 때 보다 안전하고 자신 있게 할 수 있게 되어 유지 보수 차원에서 꼭 필요한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조금 과장하여 개발 프로세스 중에 필수라고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물론, 테스트 코드가 군대에서 다치면 의무대에서 줬던 빨간약 같은 만병통치약이라는 소리는 아닙니다. 테스트 코드가 모든 버그를 방지할 수 있는 것도 아니죠. 하지만 테스트 코드가 가져다주는 장점은 분명하기 때문에 고려를 해봐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게 될까요? 이번 글을 통해 테스트 코드 작성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정립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964/

테스트 코드는 왜 만들까? | 요즘IT

요즘IT

테스트 코드는 왜 만들까? | 요즘IT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5월 27일 오후 10:50

 • 

저장 187조회 7,66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프롬프트 엔지니어에 대한 빗나간 예측

    2022년 말이 었나요? ChatGPT가 처음 등장했을 때, 앞으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라는 새로운 직업이 뜰 거라는 말이 정말 많았습니다. LLM(Large Language Model)으로 부터 최소한의 질문으로 원하는 응답을 얻기 위해서 프롬프트를 최적

    ... 더 보기

     • 

    저장 10 • 조회 4,516


    🕊️ 스프링 부트: YAML vs properties

    ... 더 보기

    Spring Boot : Difference between yml vs properties file

    Medium

    Spring Boot : Difference between yml vs properties file

     • 

    댓글 1 • 저장 118 • 조회 9,423


    액터모델과 오버엔지니어링

    ... 더 보기

    WEBNORI

    wiki.webnori.com

    WEBNORI

    ChatGPT의 Deep Researh에 GitHub을 연결 할 수 있게 되었군요!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3,132


    Dependabot을 통한 안전한 의존성 관리

    ... 더 보기

     • 

    저장 14 • 조회 3,522


    감사합니다. 멋진 서비스 잘 만들어보겠습니다.

    ... 더 보기

    조회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