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내부의 ‘수사 부서’가 정기적으로, 구글 서비스를 사용하는 특정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캘리포니아 베이 지역의 ‘대 테러 활동 센터’에 전달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해당 사용자들은 폭력 사용을 암시하는 위협적인 말들을 남기거나 극우성향을 보이며 극단주의적인 견해를 표현했습니다. 예를 들어 지역 경찰의 과잉 진압 영상에 “(진압당하는 사람) 모두 죽여라. 재판에 가면을 쓰고 나타나는 범죄자들이니 (진압해서) 죽여라”라는 댓글을 수시로 달아온 사용자의 정보를 구글이 넘긴 것입니다. 해당 개인 정보에는 실제 이름, 주소, 신용 카드 번호, Gmail 및 복구 이메일 주소, YouTube 채널 주소 및 최근 로그인의 시간 및 IP 주소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공정하고 참여적인 미디어를 위한 비영리 캠페인’ 운영 단체 ‘미디어 저스티스’의 대표자는 “지금 경찰을 포함한 공권력이 사람들을 안전하게 지키지 못한다는 생각이 팽배해 있습니다. (사회 전반에 불안감이 조성돼 있습니다) 이 시점에 구글이 법 집행 기관에 개인 사용자 정보를 넘기는 것은 무모하다고 생각합니다. 구글 소유 플랫폼 전반에 걸쳐 증오와 협박, 폭력, 유해 정보가 만연한 것은 문제이지만 정부 기관 및 경찰에 이를 떠넘겨 책임을 모면하는 것은 해답이 아닙니다.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국가와, (사용자를 특정해, 정기적으로) 개인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할 수 있고 이를 얼마든지 국가기관에 넘길 수 있는 거대 IT 기업과, 개인의 권리, 자유, 인권 및 범죄 등 다양한 가치가 얽힌 사안입니다. 얼굴 인식 기술 및 국가의 개인정보 수집 관련해서 논란이 많은 지금인데요. 기술이 발전할수록 더 첨예해질 분야인 것 같습니다. 관련 뉴스를 계속 팔로업하고, 국가와 기술, IT 기업, 개인의 권리 등에 대해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Google giving far-right users' data to law enforcement, documents reveal

the Guardian

Google giving far-right users' data to law enforcement, documents reveal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18일 오전 4:0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에서 문제 정의하는 5️⃣ 단계

    문제 정의하기는 데이터 분석의 첫 단계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나 목적을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문제를 정의할 때 아래의 체크리스트(Checklist)들을 통해 더 좋은 데이터 분석을 만들 수 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25 • 조회 3,051


    어제 저커버그 인터뷰에서 연구자들을 돈으로 매수..아니 돈으로 경쟁사들에게서 빼오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 답했는데요.


    이는 잘못된 말이라며, 탑티어 연구자들의 욕망(!)은 GPU를 최대한 많이 사용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고, 그래서 작은 팀으로 무한대의 GPU를 쓸 수 있게 해 준다는 것으로 유혹(?) 했다고 합니다. (*욕망, 유혹 같은 표현을 저커버그가 쓴 건 아님)


    ... 더 보기

    조회 469


    < 성공한 사람들은 ‘의도적으로’ 선택한다 >

    1. '의도적'은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어다. 우리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일한 핵심 단어일 수도 있다.

    ... 더 보기

    《친구의 취향》

    ... 더 보기

    품질 높은 프로젝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

    ... 더 보기

    “품질 높은 프로젝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품질 높은 프로젝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퍼스널 브랜딩의 불편한 진실

    회사에서 개인의 브랜드를 만든다는 것은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행위이다.
    이게 무슨 말일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