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단 질문자가 "평생 공부" 라는것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계신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부터 이야기하면 "평생 공부" 라는것은 제게 일종의 놀이입니다. 새로운 분야를 알아가는 과정은 늘 재밌습니다. <늘짜릿해> 어쩌구 짤 저는 누군가 시키지않아도 늘 무언가를 배우고있습니다. 새로운 분야에서 느끼는 성장의 즐거움을 알거든요. 초보인상태로 배워가면서 한단계 한단계 제 실력을 업그레이드 할수 잇는 것 인생에서 느낄수있는 큰 즐거움입니다. #2. 평소에 갖고있던 안좋은 생각부터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저는 사실 "이 질문의 아래에 깔려있는 특정 문화" 가 굉장히 마음에 들지않습니다. "학생때 죽어라 공부해서 평생 써먹는다" 고등학교 다닐때 부모님들이 많이들 이야기하십니다. "고3때 공부해서 대학가면 평생써먹는다." 전문직 얘기도 오지게 많이하시죠 "고시 공부 빡세게해서 전문직 라이센스 받아두면 평생 공부안해도 놀고먹는다" 공무원, 공기업을 평생직장이라고 선호하는 문화도 굉장히 맘에 안듭니다. "평생직장" <- 이 단어도 속에 함의된 "특정 문화"가 있습니다. "취업준비 한번만 빡세게 하면 붙어서 평생 먹고산다" 왜 안좋아하냐구요? 그깟 몇년 공부 잘한걸로 평생 잘먹고 잘사는게 말이되나?ㅋㅋㅋ 저런 문화는 사회적 문제를 만듭니다. #3. a. 인생의 특정 몇년 희생을 당연한것마냥 치부해버립니다. b. 그 "평생가는 시험, 면접" 등이 인생에서 너무 중요한 것이 됩니다.  c. a 에서 과하게 고생한 세월에 대한 보상심리가 생깁니다. #4 질문으로 돌아와봅니다. 개발을 처음 접할때는 다들 "개발자는 평생 공부해야하는 직업이다" 라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정말 현직자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a. 네 그렇게 생각합니다. 개발자는 평생 공부하는 직종이고, "공부하는 방법" 그 자체가 역량인 직업입니다. 개발자들은 회사 업무시간에 돈받으면서 공부합니다.(개 꿀~) b. 문제있나요? 평생 공부하는게 자연스러운 집단은 속해있는것만으로 축복입니다. 20년도 더 된 옛날 무용담을 반복재생하는 놈팽이그룹보다 어제 배운 지식을 자랑하는 그룹이 훨씬 다이나믹하고 즐겁습니다. #5. 나이가들고, 자식이 생기고 자식이 커가면서 자식교육에 관심이 많아지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분들이 자식교육을 할때 사교육에 돈을 투하하는것보다 훨씬 효율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부모님부터 공부하면됩니다." #6. 개발자는 평생 공부하는 직업입니다. 저는 이 특성을 개발자 직업의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치매 예방에 아주 탁월한 습관이죠~ 공부하는거 개발자들중 능력에 비해 특출나게 고연봉을 받는 직종은 둘중하납니다. (능력에 비해 고연봉이라는건 한마디로 꿀빤다는겁니다~) "누구도 안쓰는 옛날기술" 을 적은 수요의 특정 직장에서 고연봉을 받는것. "누구도 잘 모르는 최신기술" 을 많은 수요의 직장들에서 고연봉을 받는것. 전자는 오래된 항공기, 오래된 금융시스템 등에서 사용하는 오래된 프로그래밍 방법 후자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모든 글로벌 기업이 원하는 "기술" 5년전엔 "딥러닝" 에 대한 수요가 그런느낌이었고, 지금은 Large Language Model (GPT같은 인공지능 모델) 이 그런류입니다. 보통 "공부 하는 능력" 에 최적화가 되어있는 개발자들은 "평생직장" 같은것에 큰 가치를 두지 않습니다. 돈 많이 줄테니까 오라는데가 하도 많아서... 음... 답변끝.. 제목은 조금 어그로이며.. 제가 궁금한 내용은 "기술이 계속 발전하다 보면 어느 때에는 추가적인 리팩터링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괜찮아지지 않을까요?"입니다. -> 음.. 리팩토링이 필요없어지는 기술발전의 시기는 특이점인거같습니다 ㅎ 인공지능이 알아서 다해주겟죠~ 요히~ 그게아니라면 평생 리팩토링하셔야합니다 작년의 내가 짠 코드는 정말 멍청한 사람이 만든 코드거든요ㅎ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6월 22일 오후 1:51

조회 315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