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코마 VS 라인망가 : App Ape 분석 일본 구글스토어 전체 랭킹에서 픽코마와 라인망가가 국민 메신저 '라인' 을 제치고 1,2위를 겨룰 만큼 현재 일본 내 웹툰에 대한 인기가 뜨겁습니다. App ape에서 두 앱의 최신 데이터를 비교한 분석 기사를 냈는데, 관련 내용을 요약해 봤습니다. >핵심 한 줄 :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용자 수가 아닌 '이용 빈도' #현황 (0) 2020.8 구글 스토어 랭킹 1위. 픽코마 2위. 라인 망가 3워. 라인 4위. 17LIVE 5위. Pococha LIVE > 일본 국민앱 ‘라인’ 을 제치고 웹툰 앱이 1,2 위 경쟁 (1) 픽코마 - 2017년 6월을 기점으로 ‘소년점프+’를 추월, 2018년 10월에는 ‘GANMA!’를 추월. 2019년 3월 이후로는 다른 경쟁 앱들과 크게 차이를 벌리며 업계 1위 다져가는 중 -인기 웹툰 상위 5개 모두 한국의 콘텐츠. 1위.“샬롯에게는 다섯 명의 제자가 있다” (공개 당일 1위) 2위 나혼자만레벨업 3위.황제의 외동딸 .. - ‘카카오페이지’는 10~20대 여성이 주축을 이루지만, ‘픽코마’는 남녀 30대 주 사용자 층. 특히, ‘픽코마’는 여성 30대 사용자 비율이 높음 (안드로이드 대상 분석이라 일부 오차 있을 수 있음) (2) 라인 망가 - 2018년 7월부터 MAU 급상승 -인기콘텐츠 TOP10에 1위의 ‘여신강림(女神降臨)’ 4위의 ‘외모지상주의(外見至上主義)’ 도 포함되어 있으나 일본 현지 콘텐츠도 다수 랭크인 -‘LINE망가’는 일본에서 철저한 현지화와 작가 발굴, 육성에 힘써 왔음. 일본은 종이 만화책의 인기가 여전히 높기 때문에 LINE코믹스 라는 출판사를 설립하여, ‘LINE망가’에서 발굴한 일본의 신인 작가 작품의 단행본화도 진행 #비교 -‘픽코마’는 10대 남성과 20대 남녀 사용자 비율이 높은 것에 비해, ‘LINE망가’는 40대 여성에게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음 -‘LINE망가’가 40대 여성을 끌어들일 수 있었던 것에는 ‘LINE’ 이라는 인프라가 크게 활약했을 것. 한국의 ‘카카오톡’과 같이, 일본에서는 일반적인 연락 수단으로 자리잡은 ‘LINE’의 홈 화면에는 “오늘의 무료 만화” 코너가 있어, ‘LINE망가’로의 이동을 유도 -MAU, WAU 에서는 ‘LINE망가 픽코마보다 우위, 헤비 사용자 수에서는 2020년 7월에 ‘픽코마’ 역전 > 매출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사용자 수가 아니라 이용빈도

[App Ape의 모바일 앱 분석] 만화 강국 일본에서 선전하는 한국 콘텐츠 - ‘픽코마', ‘LINE망가’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App Ape의 모바일 앱 분석] 만화 강국 일본에서 선전하는 한국 콘텐츠 - ‘픽코마', ‘LINE망가’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28일 오전 1:17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