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버전 사용 경험기

소프트웨어에서 버전은 배포된 시점을 기록하는 것이다. 배포된 시점을 알 수 있으면 서비스 장애 해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의존성을 파악하기 쉽다. 프로젝트에 따라서 두 가지 방법으로 버전 기록했는데, 그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날짜로 버전 사용 현재는 종료된 카카오 영화예매 서비스를 담당할 때 버전은 날짜를 사용했다. YYYYMMDD 형식을 사용했는데, 예를 들어 20230101처럼 연월일을 모두 기입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활용하면 언제 배포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배포 시점에 따라 장애가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에 시점을 알고 싶을 때 유용하다. 서비스는 여러 개의 서버 장비에 배포가 되기 때문에 간혹 배포 이슈로 특정 서버 장비에 배포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Sentry처럼 장애 모니터링 도구를 통해서 버전을 확인해서 바로 파악 가능하며, 서버 장비를 뒤져서 배포 안된 것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유의적 버전 사용 유의적 버전은 카카오 사내 플랫폼 개발 당시에 사내 라이브러리를 운영할 때 사용했다. 이 방식은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표현할 때 좋은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major].[minor].[patch] 형식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1.2.3처럼 점으로 구분해서 기입하는 방식이다. 각 버전은 다음과 같은 이유일 때 올린다. - major: 기존 버전과 호환되지 않게 기능이 바뀔 때 - minor: 기존 버전과 호환되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 patch: 기존 버전과 호환되면서 버그를 수정할 때 유의적 버전에 대한 내용은 https://semver.org/lang/ko/를 참고하면 된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8월 6일 오후 11:4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보여서 걷는 게 아니라, 걷다 보니 길 >

    1

    ... 더 보기

    내가 생각하는 사업아이템 피봇팅의 전형적인 모범사례는 기사의 파크랜드와 같은 경우다. 많은 스타트업이 갖고 있는 판타지스러운 피봇팅도 아니고 거창하고 화려하게 포장된 이야기도 아니다. 피봇팅한다, 덩치키운다 마치 사업을 인스타그래머블처럼 하던 스타트업들이 최근까지도 줄줄이 망한 건 언급하지 않겠다.

    ... 더 보기

    양복 만들던 '파크랜드' 요즘 잘 나가네…8500억 '잭팟'

    n.news.naver.com

    양복 만들던 '파크랜드' 요즘 잘 나가네…8500억 '잭팟'

    혹시 Claude 나 cursor 등 AI 로 개발하실 때
    뭔가 AI 스러운 뻔한 디자인 때문에

    ... 더 보기

    LinkedIn

    www.linkedin.com

    LinkedIn

    예상대로 OpenAI에서 GPT-5를 발표했습니다.

    ... 더 보기

    🍜 짜파게티가 왜 거기서 나와?

    ... 더 보기

    📣 Interview Coaching 베타 릴리즈!!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