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패의 재정의 - 많이 실패하면 성공할 수 밖에 없다 >

1 인텔의 접근법은 잘못된 하나가 전체를 망가뜨릴 수도 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는 듯하다. 반면에 애플의 접근법은 실수해도 좋다는 사고방식에서 출발한다. 2 창의성을 훼손하는 프로세스 때문에 스스로를 망치는 것보다는 때로 실패하더라도 높은 목표를 지향하는 편이 낫다는 것이다. 두 회사 프로세스의 가장 큰 차이는 최소화 역량이었다. 애플은 해냈지만 인텔은 그러지 못했다. 3 잡스는 신제품이든 새 광고든 그 본질을 바라보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포커스그룹처럼 복잡한 꺼풀이 하나 더 붙는 것에 즉각 과민한 반응을 보였다. 4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마음먹었을 때 내놓는 첫 번째 해결책은 지나치게 복잡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이 여기서 포기하지요. 하지만 계속 문제를 고민하여 양파 껍질을 벗기다 보면 아주 고상하고 단순한 해결책에 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잡스는 애플과 수많은 경쟁사들의 차이를 이 몇 마디로 집약해 표현했다. 꼭 기억하기 바란다. 더 노력하고 더 자세히 살펴보면 잘라낼 수 있는 부분들이 얼마든지 있다. 그렇게 해서 아이디어의 본질에 도달할 때, 그 속에서 당신이 진정으로 자부할 수 있는 무언가를 얻게 될 것이다. - 켄 시걸, 미친 듯이 심플 중 6 성공은 확률 게임이다. 한 번에 이뤄지는 성공은 거의 없다. 가끔 있다면 정말 운이 좋은 거다. 성공한 많은 사람들이 비결로 운을 이야기하는 건 빈말이 아니다. 7 그 확률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시도를 늘리면 된다. 성공을 위한 시도를 늘리는 건, 곧 많이 실패하는 것과 같다. 반복적으로 많이 실패하면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 8 많이 시도하려면 단순해야만 한다. 완벽함은 단순함의 적이다. 실패의 적이기도 하다. 틀리면 안 된다가 아니라 빨리 틀려야 한다. 오답들을 지워나가야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 9 많이 실패해야 성공한다는 말은 직관에 반한다. 실패와 성공이 같이 붙어 다닌다니. 삶은 모순적인 것들이 함께 만드는 균형들이 많다. 그게 궁극적인 균형의 법칙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실패의 재정의 - 많이 실패하면 성공할 수 밖에 없다

blog.naver.com

실패의 재정의 - 많이 실패하면 성공할 수 밖에 없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8월 9일 오후 10:1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팀장으로 승진하는 사람들이 현실적으로 꼭 알아야 하는 6가지

    1. 성공을 하기 위해 꼭 관리자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 많은 사람들이 (직장 생활에서) 더 많은 돈을 벌고, 지위도 올라는 길은 승진해서 관리자가 되는 것, 하나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슷한 연봉을 받고, 비슷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또 그러면서도 전반적

    ... 더 보기

    👋 AI야, UX라이팅 알잘딱 고쳐줘

    스타트업에서 UX라이터 없이 제품을 만드는 건 드문 일이 아닌데요. 하지만 그렇다고 사용자 친화적인 언어가 흔들려서는 안됩니다. 저는 이 고민에서 출발해 Claude와 Figma 플러그인을 활용한 AI 기반 UX라이팅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오늘은 그 과정을 공유하려 합니다.

    AI야, UX라이팅 알잘딱 고쳐줘 - 라포랩스 팀블로그

    blog.rapportlabs.kr

    AI야, UX라이팅 알잘딱 고쳐줘 - 라포랩스 팀블로그

    < 습관의 인간을 깨우는 건 상상의 인간이다 >

    1

    ... 더 보기

    오늘은 회사 굿즈 디자이너로 업무 완.

    조회 503


    < 세상은 뇌가 만든 가장 완벽한 거짓말이다 >

    1

    ... 더 보기

    유능한 직원이 마이크로 매니저로 전락하는 흔한 과정

    1. 당신이 당신의 일에 일가견이 있다고 해보자. 예를 들어, 당신은 아주 뛰어난 회계사다. 그리고 당신 팀은 팀원들을 잘 도울 수 있으며, 팀원들을 대신해 경영진과 만나 이야기를 나눌 관리자를 필요로 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