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역량,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까?

💦 나만 모르는 프로덕트 관리 이야기 [ 💬 업무 역량,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까?] (👀간단 요약) 📌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오해와 집중해야 하는 것 ✓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히 말을 잘 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지하기 ✓ 상대의 이야기를 집중해서 들으며 어려운 부분 등이 없는지 확인하는 ‘잘 듣기’ 연습하기 ✓ 서로의 주장만 내밀다 끝나지 않도록, 언제든 결론이 바뀔 수 있는 대화라고 생각하기 ✓ 핵심을 먼저 이야기하는 연습하기, 결론을 먼저 말하고 근거를 덧붙이는 방법 활용하기 ✓ 업무 상황에 맞는 커뮤니케이션 기준을 만들고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방법 살펴보기 📌 글쓰기가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이유 ✓ 평소 자주 쓰는 메모장을 활용, 생각난 내용을 하나씩 기록하는 연습하기 ✓ 이렇게 써보고 싶은 스타일의 작가 글을 꾸준히 읽고 구조를 살펴보기 ✓ 가장 관심 있는 주제를 기준으로 짧은 기록을 모아 조금씩 긴 글로 작성하는 연습하기 ✓ 글 작성에 필요한 목차 등을 미리 정리하며, 구조화 하는 연습하기 ✓ 작성한 글은 외부에 하나씩 공유해 반응을 살피고, 피드백을 받아 개선하기 ✓ 작성한 글은 일정한 시간을 두고 한 번씩 다시 읽어보고 개선할 점 확인하기 📌 나와 맞는 방법으로 트렌드 습득하기 ✓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나에게 맞는 트렌드 공부 방법을 알아가는 시간 갖기 ✓ 뉴스레터, 팟캐스트, 책, 콘텐츠 큐레이션 플랫폼을 활용해 최신 정보 확인하 ✓ 외향적인 성격이라면 커뮤니티, 이벤트를 통해 사람들을 만나 정보 나누기 ✓ 관심 있는 분야에서 일하는 현직자에게 커피챗 요청하기 📌 정리의 기술 기르기 ✓ 회의한 내용을 정리하고, 진행한 마케팅 결과를 정리하며, 설득에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하는 것 등이 포함 ✓ 업무의 주요 과정에 대한 정리를 잘하지 못하면, 자료를 공유했을 때 수많은 질문을 받아 별도의 시간을 써야 ✓ 주제에 따라 내용을 어떻게 담으면 좋을지에 대한 다양한 문서 템플릿을 확인 ✓ 내부 피드백을 통해 계속 개선하는 과정 활용 📌 데이터를 해석하는 능력 ✓ 이 데이터를 보면, 유용한 내용을 볼 수 있지 않을까?에 따라 분석을 시작하면 아무것도 얻지 못하는 경우 발생 ✓ 무엇을 알고 싶고, 알게 된다면 어떻게 활용하고 싶으며, 필요한 데이터는 무엇인지를 먼저 고려할 수 있어야 ✓ 분석의 기준이 명확해야 해석 과정에서도 흔들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 ✓ 정책을 정리할 때, 검증 기준과 이를 위해 어디에서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를 꼭 먼저 작성 ✓ 배포 후, 일정 기간에 따라 데이터를 보고, 해석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로 활용하고자 노력

💬 업무 역량 그거.. 어떻게 키우는 건데?

팁스터

💬 업무 역량 그거.. 어떻게 키우는 건데?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8월 29일 오후 3:04

 • 

저장 31조회 1,427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