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Computing란 무엇인가?(1)

”Cloud Computing is a model for enabling ubiquitous, convenient, on-demand network access to a shared pool of configurable computing resources(c.g., networks, servers, storage, applications, and services) that can be rapidly provisioned and released with minimal management effort or service provider interaction. This cloud model is composed of fiv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ree service models, and four deployment models.”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가 구성 가능한 컴퓨팅 공유 리소스 풀(예: 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언제 어디서나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여 필요한 리소스를 요구하는 즉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델이다. 이러한 컴퓨팅 리소스는 최소한의 관리 또는 최소한의 서비스 공급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신속하게 제공, 회수된다.” - 미국 국립표준기술원(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클라우드 컴퓨팅을 배우기 시작한 지 1년쯤 여러 인터넷 문서와 책들을 찾아본 것 중에서 가장 명료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한 정의이다. 원문의 첫 문장처럼 ‘클라우드 컴퓨팅’은 어떤 특별한 ‘기술’이거나 혹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IT리소스를 제공하는 또 하나의 서비스 ‘모델’로서 정의하고 있다. 또한, 문서에서는 ‘Essential Characteristics(본질적 특성)’ 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정의 하고 있다. - On-demand self-service. - Broad network access - Resource pooling. - Rapid Elastic. - Measured service. [원문] “On-demand self-service. A consumer can unilaterally provision computing capabilities, such as server time and network storage, as needed automatically without requiring human interaction with each service provider.” [번역문] ”온-디멘드 셀프-서비스*. 소비자는 필요에 따라 서버 시간 및 네트워크 스토리지와 같은 컴퓨팅 기능을 일방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공급자와 직접 상호 작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 첫 번째, 온-디멘드(On-demand, 주문형)란 사전적 의미로 ‘As soon as or whenever requied(Oxford Dict.) Available at any time that you want to use it(Collins Dict.)’ ‘필요한 경우 즉시 또는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셀프-서비스(Self-Service)는 ‘The system whereby customers select goods for themselves and pay at a checkout’(Oxford Dict.), 고객이 직접 상품을 선택하고 계산대에서 결제하는 시스템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본인이 원할 때, 원하는 만큼, 원하는 기간 동안 즉시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들을 대여하고 직접 결제 할 수 있는 특징이다. 이전에 자체 호스팅 모델의 경우, 필요한 물리적 리소스와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사용 전 초기에 큰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다른 경우 회사가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지 않고 제3자가 관리하는 서버를 임대하는 방법이 있다. 구매하는 것보다 적은 비용이 들지만, 사용 전 물리적 자원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지속적인 유지관리비가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온-디멘드 셀프-서비스(On-demand Self-service)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획기적인 장점을 가지게 된다. 추가로, 지문에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일방적으로’ 또는 ‘공급자와 직접 상호 작용할 필요가 없음’이라는 말은 사용자의 지불 능력(Credit Card)가 서비스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 [원문] “Broad network access. Capabilities are available over the network and accessed through standard mechanisms that promote use by heterogeneous thin or thick client platforms(e.g., mobile phones, tablets, laptops, and workstations)” [번역문] ”브로드 네트워크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기종 씬(thin 또는 씩(thick) 클라이언트 플랫폼(예: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및 워크스테이션)의 사용을 촉진하는 표준 메커니즘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브로드(Broad, 광범위) 네트워크 액세스로 다양한 클라이언트 플랫폼을 통해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가지고 있다. 모두가 알고 있겠지만, 클라우드가 네트워크고 네트워크가 클라우드이듯이 사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네트워크가 없으면 엑세스조차 할 수 없다. Thin client와 Thick client는 게임업계에서 사용자가 플레이 시간이나 유료 결제에 따라 분류되는 라이트 유저(light user), 헤비 유저(Heavy user)로 분류된다고 이해하면 쉽다. 표준 메커니즘은 다양한 사용 의도와 플랫폼으로부터 다양한 프로토콜로 접속되는 사용자들에게 똑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원문] “Resource pooling. The provider’s computing resources are pooled to serve multiple consumers using a multi-tenant model, with different physical and virtual resources dynamically assigned and reassigned according to consumer demand. There is a sense of location independence in that the customer generally has no control or knowledge over the exact location of the provided resources but may be able to specify location at a higher level of abstraction (e.g., country, state, or data center). Examples of resources include storage, processing, memory, and network bandwidth.” [번역문] ”리소스 풀링*. 공급자의 컴퓨팅 리소스는 멀티 테넌트 모델을 사용하여 여러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풀링되며, 소비자 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물리적 및 가상 리소스가 동적으로 할당되고 다시 할당됩니다. 일반적으로 고객은 제공된 리소스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제어권이나 지식이 없지만 더 높은 수준의 추상화(예: 국가, 주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치 독립성이 있습니다. 리소스에는 스토리지, 프로세싱, 메모리 및 네트워크 대역폭이 포함됩니다.” 세 번째, 리소스 풀링(pooling). 풀링은 사전적 의미로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물이 담긴 웅덩이, 다른 하나는 필요할 때 필요한 차량 또는 자원의 공유 및 공급. 테넌트(Tenant)는 가상화 자원이나 물리적 자원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한 명 혹은 그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를 뜻하며, 멀티가 붙으면 다수의 사용자를 일컫는다. 쉽게 말해, 우리가 조립식 컴퓨터를 만들 때 필요한 리소스를 구성하듯이 클라우드 컴퓨팅에서도 가상화된 물리적인 자원들로부터 필요한 만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받은 리소스는 하나의 데이터 센터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받을 수 있는 지역(국가 및 데이터 센터)을 선택할 수 있지만, 받은 리소스들의 정보(제조사 및 하드웨어 스펙 등) 등에 대해서 알 수 없고 또한 특정 위치의 리소스들을 지정하여 사용할 수 없다. [원문] “Rapid elasticity. Capabilities can be elastically provisioned and released, in some cases automatically, to scale rapidly outward and inward commensurate with demand. To the consumer, the capabilities available for provisioning often appear to be un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d in any quantity at any time.” [번역문] ”라피드 엘라스틱시티.* 기능을 탄력적으로 프로비저닝하고 자동으로 해제하여 수요에 따라 외부 및 내부로 빠르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가 볼 때 프로비저닝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은 제한이 없는 것처럼 보일 때가 많으며 언제든지 수량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 번째, 라피드 엘라스틱시티(신속한 탄력성)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리소스들은 수직, 수평적으로 확장을 한다는 뜻이다. 온-프레미스처럼 물리적인 리소스들을 사용할 때는 갖추어져 있는 환경에 따라 그 사용의 한계가 정해져 있지만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마치 제한이 없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특정 조건(시간, 계절, 이벤트 형태)에 따라 많은 리소스를 원하는 크기만큼 사용하거나 또는 줄일 수 있고 또한 여러 개를 순식간에 복제품을 만들고 그 수를 특정 조건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 [원문] “Measured service. Cloud systems automatically control and optimize resource use by leveraging a metering capability at some level of abstraction appropriate to the type of service (e.g., storage, processing, bandwidth, and active user accounts). Resource usage can be monitored, controlled, and reported, providing transparency for both the provider and consumer of the utilized service.” [번역문] ”메저드 서비스. 클라우드 시스템은 서비스 유형(예: 스토리지, 프로세싱, 대역폭 및 활성 사용자 계정)에 적합한 추상화 수준의 미터링 기능을 활용하여 리소스 사용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최적화 합니다. 리소스 사용을 모니터링, 제어 및 보고할 수 있으므로 활용 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메저드(Measured, 측정된) 서비스는 클라우드 시스템으로부터 받는 모든 서비스는 클라우드 제공자의 비용 측정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그 사용량과 그에 대한 비용이 측정되며 이것은 공통된 모니터링을 통해 제공자와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메저링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비즈니스의 예산 따라 사용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의 비즈니스의 계획에 정확한 경제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공부하는 입장에서 사전적 의미나 혹은 풀이 또는 예시가 필요한 부분들을 영문,한글 번역 밑에 넣었습니다. 또는 또한 작가가 아니라서 문장이나 순서가 매끄럽지 못할수도 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다음에는 이 문서에서 정의하고 있는 서비스 모델 업계에서 흔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SaaS, PasS, IaaS에 대해서 정리 해보려고 합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은 글 밑에 있는 링크로 원문을 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 참고서적 Kevin L. Jackson • Scott Goessling,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아키텍팅(Architecting Cloud Computing Solutions, 9781788472425), 최철원 • 박종하 옮김, (서울: 에이콘, 2021) 41p ~ 47p Jothy Rosenberg • Arthur Mateos, 클라우드 세상 속으로(The Cloud AT Your Service) 장정식 옮김, (서울 에이콘 2016) 35p ~ 40p Thomas Erl • Zagiham Mahmood • Ricardo Puttini,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Concepts, Technology & Design, 1st Edition, 9780133387520) 참고문헌 Peter Mell • Timothy Grance “The NIST Definition of Cloud Computing” https://nvlpubs.nist.gov/nistpubs/legacy/sp/nistspecialpublication800-145.pdf

NIST SP 800-145, The NIST Definition of Cloud Computing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SP 800-145, The NIST Definition of Cloud Computing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8월 31일 오후 5:59

조회 157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