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사모펀드 '블랙스톤' 창립자이자 CEO인 스티브 슈와츠먼의 자서전 '투자의 모험'을 읽었습니다. 금융가로서의 인사이트, 그가 성공시킨 딜 등도 당연히 기술되었지만, 창업가로서, 기업가로서, 경영자로서의 모습이 더 인상적인 책입니다. 4파트로 나누자면 1) 성장기 - 학창시절부터 월가에서 경력을 시작해 리먼브라더스에서 재직한 시기 2) 창업기 - 블랙스톤을 창업하고 하나씩 체계를 세우던 시기 3) 경영기 -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능력있는 사람들을 발탁하여 회사를 성장시킨 시기 4) 영향력 발휘기 - 본인이 가진 영향력을 국가와 미래 사회를 위해 어떻게 사용하였는지에 대한 기술 이렇게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창업기에 인상적인 구절이 2개 정도 있었는데, 아마 창업을 하시거나 이미 사업을 하시는 분들께서도 공감하실 것 같습니다. 소개해드리면, "바로 큰 회사를 창업하는 것이나 작은 회사를 창업하는 것이나 힘들고 어렵기는 마찬가지라는 사실이다. (중략) 그러므로 어차피 창업을 해서 인생을 바치기로 했다면(아닌게 아니라 인생을 바치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으면 신생 기업을 성공시킬 수 없다) 무엇보다도 잠재성이 큰 것을 붙잡고 시작해야 한다." "우리와 함께 할 사람들은 ‘10점 만점에 10점’의 인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중략 8점짜리 인물은 지시받은 일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9점짜리 인물은 좋은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하는데 능하다. (중략) 10점짜리 인재는 문제가 있을 때 이를 감지하고 해결책을 설계하며 따로 지시를 받지 않고서도 사업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끈다. " *제가 8점이나 될 수 있을지 뜨끔하면서 읽었습니다 그리고 인상적인 것은 파트 4입니다. (보통은 파트 3에서 마무리되죠) - 경제정책 : 경제계에 가진 영향력과 인맥을 활용하여 금융위기시 부시-오바마 행정부와 의회에 어떻게 조언하고 그 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 교육 기부 : 미래세대를 위한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MIT, 옥스포드, 칭화대에 실시하는 과정에서 세계 지도자들과 어떻게 소통하고 이를 실행에 옮겼는지 - 트럼프 행정부 초기 자문위원회 활동 등 입니다. 600여 페이지가 넘는 두꺼운 책이지만, 창업가로서, 금융가로서, 경영자로서, 지도자로서 자질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투자의 모험

예스24

투자의 모험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9월 3일 오전 5:1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해결책 과잉 시대, 이제는 의미가 답이다 >

    1. 과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해결책의 양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더 보기

    50세 이전에 임원 안되면? 그럼 나가야지! I 대기업 임원 퇴사 이유

    5

    ... 더 보기

    ❶경영진이 인재관리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54%)

    ... 더 보기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일리경제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

    ‘명 선수는 명 감독이 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감독이 되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생겨난 말이다. 신이라 불리던 디에고 마라도나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지만 남아공 월드컵에서 그들 기준에 한참 못 미친 8강에 그쳤다.

    ... 더 보기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조회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