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아픈 이마트 시가총액 2조원
www.youtube.com
이마트/다이소/올리브영 2022년 매출액, 영업이익 비교
✅이마트 매출액 15조4868억, 영업이익 2589억(영업이익률 2%), 별도기준
✅다이소 매출액 2조6048억, 영업이익 2838억(영업이익률 8%)
✅올리브영 매출액 2조7809억, 영업이익 2600억(영업이익률 9%)
슈카월드에 이마트 시총이 언급 되었길래 오프라인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3개의 유통사 실적을 비교해 봄. 이마트는 다이소 대비 x7배가 넘는 매출 규모를 나타내고 있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다이소 보다 적음.
실적을 보다 재밌었던 부분은 다이소와 올리브영의 형태가 매우 비슷하다는 것. 오프라인 시장에서 독보적인 비교 우위를 지닌채 지금 이 순간에도 성장을 하고 있고, 공교롭게 두 업체 모두 영업이익률이 8~9% 수준을 유지. 살펴보니 올리브영은 판매가 기준 최대 45%에 달하는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고, 다이소 역시 매출총이익률이 40%에 달함.
매장 수 역시 비슷. 2022년 기준 올리브영 점포수는 전국 1289개, 다이소는 1442개. 지하철역 근처에 다이소와 올리브영이 언제나 함께 보이는 이유가 있었음. 점포당 매출액은 올리브영이 소폭 높지만 다이소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음.
다만, 통상적인 매장 규모를 생각하면 올리브영의 면적당 매출이 월등이 높을 것으로 보임. 다이소가 매장당 객단가를 높이기 위해 뷰티 영역을 확장하려고 하는건 너무나 당연한 선택. 20~30대에게 올리브영이 있다면, 10대는 다이소에서 화장품을 구매하는건 자연스러운 행태.
(첨부 링크는 본문 내용과 크게 상관 없음)
https://youtu.be/JhcYEf319YA?si=PhsyfI2HXwoooQs9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11일 오후 3:34
1. 당신이 당신의 일에 일가견이 있다고 해보자. 예를 들어, 당신은 아주 뛰어난 회계사다. 그리고 당신 팀은 팀원들을 잘 도울 수 있으며, 팀원들을 대신해 경영진과 만나 이야기를 나눌 관리자를 필요로 한다.
1. 성공을 하기 위해 꼭 관리자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 많은 사람들이 (직장 생활에서) 더 많은 돈을 벌고, 지위도 올라는 길은 승진해서 관리자가 되는 것, 하나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슷한 연봉을 받고, 비슷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또 그러면서도 전반적
... 더 보기스타트업에서 UX라이터 없이 제품을 만드는 건 드문 일이 아닌데요. 하지만 그렇다고 사용자 친화적인 언어가 흔들려서는 안됩니다. 저는 이 고민에서 출발해 Claude와 Figma 플러그인을 활용한 AI 기반 UX라이팅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오늘은 그 과정을 공유하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