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js를 향한 Kent C. Dodds의 날카로운 비판

공교롭게도 Next.js 14가 출시되기 바로 전 날, Kent C. Dodds가 "Why I Won't Use Next.js"라는 글을 통해서 Next.js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비판을 하여 React 커뮤니티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 글 링크: https://www.epicweb.dev/why-i-wont-use-nextjs


Kent C. Dodds가 Next.js를 비판한 주요 이유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Next.js가 웹 플랫폼 API를 직접 노출하지 않고 감싸고 있어서 이식성에 문제가 있으며, 범용적인 웹 기술 학습에 있어서 개발자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Next.js는 Vercel이 아닌 다른 호스팅 서비스를 통해서는 서버리스 배포가 어렵고, 설사 가능하더라도 Vercel에 배포했을 때 수준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Next.js를 AWS와 같은 다른 환경에 배포하기 위한 OpenNext 프로젝트가 생겨났습니다.

  • Vercel이 공격적으로 Meta 출신의 React 인재를 끌어모아, React와 Next.js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있으며, 이러한 밀월 관계가 오픈 소스로서 React 정체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 Next.js가 실험적인 기능을 마치 안정적인 기능처럼 마케팅하였고, 이로 인해서 많은 개발팀이 완전하지 않는 기능을 쓰려고 하다가 난관을 겪었다고 합니다.

  • 웹 표준 API인 fetch 함수의 구현을 덮어써버리는 결정을 예로 들며, Next.js에 너무 많은 마술이 생겨버렸고, 프레임워크가 지나치게 복잡해진 점도 지적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Kent C. Dodds는 자바스크립트, 특히 React 분야에서는 마치 스타 강사와 같은 엄청난 영향력을 가진 분입니다. 제가 현재 일하고 있는 북미 지역에서는 Kent C. Dodds의 강의를 들어보지 않은 React 개발자를 찾기 어려울 정도이며, 한국에서도 이 분의 블로그 글이 많이 번역되어 아실만한 분들은 얼마나 유명한지 다 아실 겁니다.


갈수록 커지고 있는 React에 대한 Vercel의 지배력에 대해서 간접적으로 반감을 표하는 트윗은 종종 볼 수 있었지만, Kent C. Dodds와 같이 분이 이렇게 장문의 글을 통해 Next.js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인데요. Kent C. Dodds와 가까운 지인들이 Vercel에 많이 있으며, 본인 말의 파급력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텐데, 진짜 작심하지 않으면 이러한 글을 올리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진정으로 React를 아끼고 React 미래에 대해서 걱정하시기에 이런 쓴 소리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에 질세라, 바로 어제 Vercel의 DX(Developer Experience) 부사장이자 Kent C. Dodds과도 친분이 있는 Lee Robinson은 자신의 블로그에 Kent C. Dodds의 글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Why I'm Using Next.js"라는 글을 게시하였는데요.


📝 글 링크: https://leerob.io/blog/using-nextjs


이에 따라 앞으로 Next.js를 둘러싼 논쟁이 더 격렬해지고, 이를 지켜보는 것도 흥미진진하겠네요. 부디 건전한 토론을 통해 잘못된 방향으로 나가고 있던 부분들이 개선되고 React 생태계가 한 단계 더 성숙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래봅니다.


Next.js Conf 2023 행사 및 Next.js 14 출시 소식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 바랍니다.

https://careerly.co.kr/comments/92948

Why I Won't Use Next.js

Epic Web Dev

Why I Won't Use Next.j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29일 오전 3:58

 • 

저장 56조회 5,489

댓글 3

함께 읽은 게시물

가능성에 잡아먹히지 마세요

코드에서 if는 가능성을 의미해요. if를 로직 깊이 숨기는 건 복잡성을 늘리는 일이에요.

... 더 보기

 • 

저장 11 • 조회 3,633


간밤에 또 빅 AI 업데이트가 있었군요. Claude 4 Opus, Sonnet 패밀리가 발표되었습니다.


성능이나 다양한 능력이 향상되었고, 트렌드에 맞게(?) 소프트웨어 개발 성능이 또 크게 올랐습니다.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나는 가끔 조합형 한글의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


그 아름다움은 단순히 예쁜 글꼴이나 정갈한 종이 위의 자소 배열에서 끝나지 않는다. 진짜 매력은, 정밀한 정보 구조와 이산 수학적 규칙성 속에 숨어 있다.


... 더 보기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