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차트 vs 막대 그래프

🥧 파이 차트 (Pie Chart)

파이 차트는 원형의 프레임 안에 각 비율을 표시한 데이터 그래프입니다.
카테고리 마다 다른 색으로 비율을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비율이 클수록 파이 내에서 더 큰 부분을 차지하죠.
하지만 각 비율이 얼마나 큰지, 또 얼마나 작은지를 비교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우리는 원형으로 서로 크기를 비교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인데요.
그 때문에 파이 차트는 카테고리의 종류가 3가지 이상이 넘어가는 경우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 때문에 레이블(label) 이라는 식별표를 따로 붙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막대 그래프 (Bar chart)

막대 그래프는 각 카테고리를 길이가 다른 막대로 나타내는 데이터 그래프입니다.
카테고리 별로 서로 다른 막대를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비율(Proportion) 뿐만 아니라 단위(Unit), 그리고 퍼센트(%)도 표시 가능합니다.

막대 그래프를 만들 때 꿀팁 중 하나는
여러가지 카테고리를 비교할 때는 수직적(Vertical) 그래프보다 수평적(Horizontal) 그래프가 서로 크기를 비교할 때 더 직관적이라는 점입니다.

파이 그래프와 막대 그래프 모두 데이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움을 줍니다.

2개 이하의 카테고리를 비교하고 싶다면 파이 차트,
3개 이상의 카테고리를 비교하고 싶다면 수평적 막대 그래프
기억해주세요 :)

#데이터리차드 #데이터시각화 #데이터교육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8일 오전 1:1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

    ... 더 보기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것이지만, 회사에서 내가 무언가를 이뤘다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가소로운 생각이었나 싶다. 팀과 조직이 클 수록 그렇다. 나의 결과는 결국 내가 있는, 나를 둘러싼 환경이 결정하는 것이라서, 잘했다고 설레발도, 못했다고 좌절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뒤늗게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