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Query의 구조와 useQuery 실행 흐름 살펴보기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FE 기술블로그
Kakaoent
평일 아침 블로그 혹은 공식문서 글을 읽는 스터디를 진행 중입니다.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기록한 내용을 연재합니다.
주제: 리액트 쿼리
링크.
https://fe-developers.kakaoent.com/2023/230720-react-query/
다이어그램과 더해 정확하게 코드까지 볼 수 있어서 더 이해하기 쉬웠던 글
https://saramin.github.io/2023-08-02-react-query/
리코일과 리액트 쿼리를 처음 접했을 때 도움이 된 글
https://usage.tistory.com/155
리코일과 리액트 쿼리를 처음 접했을 때 도움이 된 글
요약.
QueryClient를 통해 쿼리 캐시에 접근하여 상호작용한다. 직접 쿼리 캐시에 접근하지 않아도 된다. getQueryData, setQueryData를 사용해서 캐싱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리코일을 사용하여 업데이트된 내용을 관리했는데, 리액트 쿼리에서도 가능하다!
결론.
리액트 쿼리로 데이터 호출 시 리코일에 저장할 필요가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었는데, 이번에 찾아보면서 둘의 역할을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고, 다음에는 캐싱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향으로 찾아봐야겠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13일 오전 1:07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A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