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블로그 읽기

주제: 퍼널 관리


링크.

  • https://velog.io/@tosspayments/엔지니어링-노트-1-웹에서-복잡한-퍼널-쉽게-관리하기

토스 제품 디자인 원칙으로 인해 히스토리 관리가 필수적. 이를 퍼널 단위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글.


  • https://jnj1.tistory.com/87

퍼널을 이탈한 경우 useEffect보다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하는 이유.


  • https://github.com/toss/slash/blob/main/packages/react/use-funnel/src/useFunnel.tsx

useFunnel에 대한 코드


요약

토스 제품 디자인 원칙

- One thing for One Page : 화면 하나에는 명확한 목표 하나만 있어야 한다.

-> 깊은 퍼널 단계 == 히스토리 관리가 필수적

퍼널의 6단계에서 뒤로가기를 하든, 2, 3 단계에서 뒤로가기를 하든 1단계에서 뒤로가기를 한 결과와 같아야 한다.


Q. 코드의 주석에 다음과 같이 써있는 이유가 뭘까?

> 훅을 호출하는 곳마다 flow를 새로 만들지 않고 flow를 유지하려 싱글턴으로 관리합니다.

이전 퍼널이 어디였는지 알 수 있다?

+퍼널 내부에서 또 다른 퍼널을 시작한다면, 어떻게 될까?


Q. 폼에 submit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퍼널에 대한 분기 처리가 된다. 그래서 해당 글에서도 깜빡임 현상의 문제점이 나오는데, 이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


결론 || 느낀점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히스토리 관리를 해야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퍼널에 대한 정의가 되지 않아서 관리가 힘들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블로그 글들을 찾아보았는데, 해당 기능을 직접적으로 사용해보지도, 프로젝트를 할 때 고민했던 부분도 아니었기에 여러 질문들만 남았습니다. 프로젝트 기획을 재정비하고 있는 지금 다이어그램을 그리면서 고민해봐야겠습니다.


웹에서 복잡한 퍼널 쉽게 관리하기

velog.io

웹에서 복잡한 퍼널 쉽게 관리하기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20일 오전 1:0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