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 프레임워크 컴포넌트의 한계

서비스 규모가 약간 커지면 누구나 겪을 문제이다.

바로 내가 관리하는 코드가 레거시 코드가 되어가는 것이다.

분명 해당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기능개발하던 초반엔 해당 프로젝트가 레거시 코드가 아니었을 것이다.

하지만 프론트 프레임워크는 빠르게 발전한다.

Next.js 13버전도 나온지 얼마 안돼서 14버전이 나와서 개발자들이 불만을 가진걸 몇번 봤다.

물론 난 Next.js는 실무에서 안쓰지만..


여튼 정말 내 프로젝트 코드가 어느순간 레거시 코드가 되어가는걸 자각하는 순간, 새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고 거기에 이어서 기능개발을 할지 고민을하는 순간이 온다. (자연스럽게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에 대해서 공부하게되는 시기인거같기도하다.)

여튼 나 또한 그렇다.


하지만, 여기서 정말 큰 문제가 있다.


나는 실무에서 Vue.js를 사용한다.

하지만 React.js 또는 Next.js를 써보고싶다.

하지만 기존 Headless Ui Component 방식으로 제작한 컴포넌트는 모두 Vue.js용 컴포넌트이다.


즉, 호환성 문제가 발생한다.


Vue.js 2버전에서 3버전용으로 바꾸는데도 마이그레이션을 해야되는데, 심지어 프레임워크가 달라진다면?

아예 컴포넌트를 다시 만들어야된다.


나는 무조건 실무에서 React만 쓸꺼야. 또는 Vue만 쓸꺼야. 라면 상관없을 수 있어도, React나 Vue와 같은 프레임워크가 영원할까? 라는 생각이 가끔 든다.

그럼 그때를 대비해야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든다.


물론, 개발 기술이 급변하는 것 같지만, 주류인 기술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백엔드에서 Java가 그렇고 프론트에선 React가 그렇다.

여러 기술이 나오긴하지만 여전히 회사에선 Java, React가 대세인 것은 분명한것 같다.


즉, React용 컴포넌트만 잘 설계해놔도 대부분의 서비스, 회사에서는 먹고살 수 있다고해도 그래도 프레임워크 자유도를 얻고싶은게 개발자의 욕심..? 이기도 하다.


때문에 현재 만들어놓은 Vue.js용 컴포넌트를 Web Component 기반 컴포넌트로 마이그레이션할 생각이다.

할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성공만한다면 프레임워크 자유도를 쟁취할 수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2월 18일 오전 2:38

조회 897

댓글 1

  • 리액트, 뷰, 앵귤러가 아직 전부 다 일정 점유율을 가지고 있던 시기에, 그래서 이 모든 프레임워크를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표준 컴포넌트 개발이 이뤄지던 시기가 있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