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uture of Data-Driven Decision Making: DataGPT vs Traditional BI Tools
DataGPT
캐나다의 스타트업이 대화형 데이터 분석 챗봇인 Data GPT 라는 프로덕트를 만들었네요!
기존의 데이터 분석과 BI Tool과 비교한 Data GPT의 장점은
실시간 분석 능력: 실시간 분석 기능을 제공
자동화된 인사이트 생성: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가장 영향력 있는 세그먼트를 식별하는 고급 알고리즘을 활용
단일, 간단하고 사용자 정의 가능한 대시보드: 모든 주요 지표를 한 곳에서 쉽게 탐색할 수 있는 단일 대시보드를 제공
대화형 AI 챗봇: 사용자가 간단한 영어로 질문을 할 수 있고, 분석 결과를 언어와 시각화로 변환하여 제공
높은 유연성: DataGPT는 사용자가 어떤 차원으로든 무제한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함. 이로 인해 여러 대시보드를 생성하거나 수동으로 필터를 걸러 응답을 찾는 필요가 줄어든다.
효율적인 데이터 준비: DataGPT의 스키마 빌더는 데이터 모델의 설정과 관리를 단순화하여 복잡한 구현 과정 없이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연결하고 차원, 테이블, 뷰, 지표를 정의할 수 있게 함
라고 합니다.
해당 아티클에서 이야기하는 전통적인 BI Tool들의 단점들(실시간 분석 부족, 확장성 부족, 비용 등)에 대해서는 동의하기 어렵지만, Data GPT의 장점들과 홈페이지에서 시연하는 모습을 보면 정말 놀랍습니다!
특히 인사이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 스키마 빌더의 활용 등은 당장 사용해보고 싶게 만드네요! 현재는 데이터 마트를 잘 만들어놓고 직접 연결해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보입니다. 2024년에 꼭 활용해보고 제 업무의 조수로 활용할 수 있을지 판단해봐야겠네요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2월 31일 오후 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