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만을 넘긴 패션앱 4파전 - '에이블리’, ‘지그재그’, ‘무신사’, '브랜디' 주요 패션앱 MAU(월 이용자 수)는 에이블리 250만 > 지그재그 213만 > 무신사 174만 > 브랜디 114만. 무신사와 지그재그는 이젠 완성형 커머스라 한다면.... 에이블리와 브랜디는 동대문과 개인셀러를 연결, 저렴하지만 트렌디한 동대문 옷들을 판매하며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 (TMI 하나) 에이블리는 '파트너스'로 브랜디는 '헬퍼'로 판매자에게 압도적인 편의를 제공해 성장해왔다. 만약 내가 동대문 도매상가 A매장에서 파는 B옷을 팔고싶으면, 착장샷을 인스타 갬성으로 찍고 해당 매장과 제품코드를 입력해 판매를 개시한다. 물건이 팔리면 에이블리,브랜디가 알아서 동대문 A매장의 B옷의 결제-배송-CS-반품 등 대고객 서비스를 모두 책임져주는것. 실제 패션센스 뛰어난 고3 소녀가 에이블리 파트너스로 1년 만에 월매출 10억을 찍는 셀러가 됐다는. (TMI 둘) 완성형 커머스 두 곳의 성적은....무신사 2019년 거래액 9천억, 매출 2197억, 영업이익 493억으로 넘사벽. 지그재그는 2019년 거래액 6천억원, 매출 293억, 영업이익 90억으로 알찬 결실을 거두고 있음. 판매자 중심으로 플랫폼을 나눠본다면 개인은 에이블리-브랜디, 쇼핑몰은 지그재그, 브랜드는 무신사.

'대세는 패션앱' 국내 패션앱 사용자 수, 월 1000만명 넘었다

테크M

'대세는 패션앱' 국내 패션앱 사용자 수, 월 1000만명 넘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9월 28일 오후 4:3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왜 나는 그때 그 선배의 말을 듣지 않았을까? >​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 더 보기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한국 스타트업 & 인수합병 역사에 길이길이 남게될 deal. 알고보니 숨은 승자는 당시 딜을 뺏긴 네이버..?

    ... 더 보기

    카카오엔터, 美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서비스 종료

    조선비즈

    카카오엔터, 美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서비스 종료

    조회 365



    레일즈와 카카오 문화

    ... 더 보기

    레일즈 철학과 카카오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레일즈 철학과 카카오 문화

     • 

    저장 6 • 조회 2,793


    < 퇴근길 작은 트럭에게 약속의 무게를 배우다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