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linkedin.com
회사를 지원하는 입장일때는 능력만 있으면 입사를 잘할 줄 알았다. 성과가 충분히 있고 경력을 잘 쌓아두면 면접을 잘 통과할 줄 알았다.
그러나, 채용하는 입장에서 보니 능력과 경력이 전부는 아니다. 특히 초기 스타트업은 역량뿐만 아니라 현재 재직하고 있는 사람들과의 일하는 호흡이 잘 맞아야 하기 때문에 실무 능력 그 이상을 본다.
아무리 커리어가 화려해도 우리가 생각하는 팀원의 역할과 match가 되지 않고 회사의 문화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채용을 하지 않는다.
기업문화와의 Fit이 생각보다, 어쩌면 더 중요한 것 같다. 아무리 능력이 좋아도 잘 맞지 않으면 더 힘들어질 수도 있다. 회사는 협업으로 성장하기 때문이다.
지원자가 보이는 성향과 일에 대한 태도, 삶의 지향점? 같은게 우리 문화와 맞는지를 생각보다 많이 보는 것 같다. 이건 틀린게 아니라 서로 다른 것이다. 그래서 채용이 더 어려운 것 같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월 25일 오후 2:25
혹시 Claude 나 cursor 등 AI 로 개발하실 때
뭔가 AI 스러운 뻔한 디자인 때문에
GPT-5 성능도 성능이지만 속도가 굉장히 빠르네요. 이거 생각은 하고 말하는거야? 싶을 정도. 개인적으로는 최상위 성능을 이정도 속도로 뽑아낸다는게 가장 중요한 혁신인 것 같습니다. 성능도 성능이지만 이 속도 덕분에 더욱 많은 것들이 더욱 빠르게 바뀌지않을까 싶습니다.
G
... 더 보기최근 AI는 LLM(대규모 언어 모델)의 등장과 함께 강력하고 대중화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LLM의 자기 추론 능력과 빅데이터 모델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기업과 기관들은 이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LLM은 응답 지연(latency)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위해 확장하는 과정에서 비용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더 보기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