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1. 취준생 때는 하도 신입개발자 코테보고, 기술면접보니까 그래서 그런건지 몰라도 퇴근하고나서 코테하고 기술블로그 하는데 차라리 회사 코드문 더 공부하는게 낫나요? 2. 코테준비같은건 몇년차부터? 실무 능해지면 코테도 알아서 쉽게 풀릴려나요?
답변 2
신입이시라면 현재 참여하고 있는 서비스나 프로젝트에 관해서 먼저 공부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해당 서비스의 관련 도메인에 관해서도 같이 공부를 해야할 것이구요. 이런 것들이 선행되어서 업무 하시는데 들어가는 에너지가 여유가 되면 그때 다시 코테공부(데이터구조와 알고리즘)을 하시면 좋지 않을까 싶네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2024년 05월 05일
1. 신입 개발자라면 여전히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본인의 역량과 회사에서 요구하는 스킬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현재 근무하신다면 회사의 코드와 프로젝트에 익숙해지는 것이 핵심입니다. 기존의 코드베이스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실제 작업에서 성장을 거두고, 팀 내에서 초기 입사 후 빠르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2. 코딩 테스트 준비는 개인의 진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개발자가 되기 위한 학습 과정에서 병행됩니다. 실무 경험이 쌓일수록 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은 자연스럽게 향상되겠지만, 코딩 테스트는 문제 해결능력과 알고리즘 지식을 중심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무 경험이와 더불어 알고리즘 공부도 같이 진행하면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