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냐 앱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서비스를 웹으로 만들지 앱으로 만들지 고민하던 날들이 생각납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까.


그런 고민을 하던 이유는 리소스를 아끼기 위해서였습니다.

둘 다 만들면 좋은 걸 누가 몰라?

개발자가 부족한데 다 할 수는 없으니까.


어쩌면 이제는 그런 고민 안 해도 되지 않을까?

진짜 둘 다 만들어 버리면 되잖아.


플러터로 만들어서 앱, 웹, 데스크톱까지 다 배포해도 되겠단 생각을 해왔는데…

이번에 구글 I/O 발표를 보면서 그런 생각이 더 강해졌습니다.

플러터로 웹개발까지 해서 출시한 서비스들도 하나둘 생겨나고 있습니다.


앱이든 웹이든 쓸만하게 만들려면 네이티브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여전히 있습니다.

자기 상황에 맞게 선택하고 트레이드 오프의 결과를 감수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커피한잔은 네이티브 앱으로 만들었습니다만…

앞으로 만드는 서비스는 멀티플랫폼의 혜택을 최대한 누리고 싶습니다.


https://m.youtube.com/watch?v=lpnKWK-KEYs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5월 19일 오후 11:48

댓글 2

함께 읽은 게시물


< 당신이 바쁜데도 성과가 없는 이유 >

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 더 보기

[비전공자에서 독학으로 시니어 엔지니어가 된 이야기 1탄]

20대 중반에 나를 만나 코딩을 알게 되어 2년 독학으로 엔지니어가 된 남편 이야기. 독학 준비 중인 사람들에게 도움되고자 공부 팁을 공유할 겸 독학 현실 이야기도 함께 해봅니다. 남편은 패키징 산업 공학 전공으로 졸업 후 IT 감사원으로 컨설팅 회사에 입사했습니다. (IT 감사원 경력이 엔지니어가 되는데 큰 도움이 되었는데, 그건 나중에..) 개발자인 저를 만나고 테크 쪽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코딩 독학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혼자 공부해서 개발자가 되기에는 버거웠고, 무엇보다도 남동생이 컴공 공부하다가 어려워서 포기한 것을 알기에, 선뜻 개발자가 되는 건 망설여졌습니다. 또한 이미 경력이 좀 있어서 “이걸 살려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라는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근무하던 회사는 커리어에 도움되지 않다고 판단하고 이직을 결정합니다. 약 3개월의 준비 후 경력을 살리면서 보안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사이버 컴플라이언스 컨설턴트로 테크 컨설팅 회사에 입사했습니다. 전 회사는 IT 기업이 아니어서 듣는 정보가 부족했지만, 테크/IT 쪽으로 이직하면서 많은 정보를 듣기 시작합니다. 직장 동료...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60 • 조회 6,333


컨텍스트 스위칭 - AI 코딩 부작용

... 더 보기

컨텍스트 스위칭 - AI 코딩 부작용

K리그 프로그래머

컨텍스트 스위칭 - AI 코딩 부작용

살아있네



... 더 보기

코프링에서 액터모델 AI연습장

A

... 더 보기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GitHub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