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코드의 중복은 피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때로는 코드를 중복해서 작성하는 것이 효율적일 때가 있어요.

각 페이지의 기능이 어떻게 변할지 예측하기 어려울 때,
중복이 있더라도, 각각 페이지 코드를 작성하면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서요.
이럴때는 오히려 중복해서 작성하는게
유지보수를 더 쉽게 만들기도 하는 것 같아요.

그럼 언제 공통으로 처리해야 할까요?
결국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사업적인 요구 사항이 묶여서 같이 변할것 같은
그런 부분들에 관한 코드를 공통으로 처리하면
더 적은 노력으로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요.

다만, 너무 많은 부분을 공통으로 처리하면
요구사항의 결이 나뉘어질 때
오히려 대응이 어려울 수 있어서요.

이처럼 중복과 공통 처리의 균형은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잡을 수 있었던것 같아요.
여러분은 어떤 기준으로 공통 처리를 하시나요?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7월 4일 오후 12:2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더 보기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요즘IT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 

    댓글 1 • 저장 25 • 조회 2,883


    꾸준함이 한계를 뚫는다...250728

    1.●고통속에서 무엇을 배우냐는 선택이다.
    2.●내가 행복해야 남도 행복하게 해줄수 있다.

    ... 더 보기

    조회 88


    😘🐍 어랏? 아이가 파이썬 재밌다네요 ㅋㅋ

    ... 더 보기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더 보기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요즘IT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 세상은 사실, 뇌가 만든 '가장 완벽한 거짓말'이에요 >

    1. 뇌는 현실의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 우리가 사는 세계를 그리면서 색깔과 움직임, 물체와 소리까지 함께 떠올려야 한다.

    ... 더 보기

    커서 AI를 슬랙과 연결하면 생기는 일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