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0억원 투자 받은 래디스 #서비스 분석 #CPO인터뷰 퍼블리 웹북의 저자로 참여한 래디시 분석 글입니다. 그동안 래디시를 다룬 기사들이 사업 모델에 포커스 했다면 저는 좀더 서비스 관점에서 디테일한 기능들을 살펴봤고, 직접 CPO님의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주요 내용] Q. 래디시는 어떤 회사? - 2016년 론칭한 영미권 대상 웹소설 서비스 -창업자는 한국인 이승윤 씨 - MAU 79만 명. 누적 다운로드 300만, 미국 도서부문 앱 2-3위 Q. 래디시의 시장 잠재력이 높은 2가지 이유 -킨들 등 전자책 리더기를 통한 소비에서 모바일 독서 플랫폼으로 트렌드 변화 - 원천 IP 영상화 등 IP 비즈니스 성장의 기회 Q. 래디시의 사업 방향 -1단계: 웹소설 중심의 'B2C 콘텐츠 플랫폼' -2단계: 유저 데이터를 기반한 'B2B IP 비즈니스' Q. 5가지 카테고리로 살펴본 서비스 분석 -첫 화면: 콘텐츠 배치와 탭 -편의 기능: 일정, 라이브러리, 검색 -핵심 서비스: 웹소설, 채팅 소설 -유저 인게이지먼트: 3시간 한정 타임챗과 댓글 -결제 방식: 건별 결제와 정기 결제, '기다리면 무료' ++ 국내 웹툰/웹 소설 서비스와 비교 Q. 래디시 CPO에게 직접 듣다 -래디시가 웹 소설 플랫폼처럼 보이지 않는 이유 -국내 서비스에는 '없고' 래디시에는 있는 것 -유저 지갑을 열게 만드는 래디시만의 전략 ** 요약 링크 : https://brunch.co.kr/@miho0429/40

하루에 1억 번다는 래디쉬, 카카오페이지 현직자가 직접 써봤다!

publy.co

하루에 1억 번다는 래디쉬, 카카오페이지 현직자가 직접 써봤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1월 6일 오후 11:3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한국일보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 더 보기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비즈니스워치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어떤 것은 다르게 살게 한다》

    ... 더 보기


    < 모든 시도는 둘 중 하나다. 성공하거나 배우거나 >

    1. 큰 수의 법칙. 시도가 많아질수록 결과는 평균에 수렴한다. 주사위를 많이 던질수록 각 숫자가 나오는 확률은 1/6에 가깝다.

    ... 더 보기

    연봉 올라가도 팀장처럼 되긴 싫어요 I MZ 퇴사 이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