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0억원 투자 받은 래디스 #서비스 분석 #CPO인터뷰 퍼블리 웹북의 저자로 참여한 래디시 분석 글입니다. 그동안 래디시를 다룬 기사들이 사업 모델에 포커스 했다면 저는 좀더 서비스 관점에서 디테일한 기능들을 살펴봤고, 직접 CPO님의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주요 내용] Q. 래디시는 어떤 회사? - 2016년 론칭한 영미권 대상 웹소설 서비스 -창업자는 한국인 이승윤 씨 - MAU 79만 명. 누적 다운로드 300만, 미국 도서부문 앱 2-3위 Q. 래디시의 시장 잠재력이 높은 2가지 이유 -킨들 등 전자책 리더기를 통한 소비에서 모바일 독서 플랫폼으로 트렌드 변화 - 원천 IP 영상화 등 IP 비즈니스 성장의 기회 Q. 래디시의 사업 방향 -1단계: 웹소설 중심의 'B2C 콘텐츠 플랫폼' -2단계: 유저 데이터를 기반한 'B2B IP 비즈니스' Q. 5가지 카테고리로 살펴본 서비스 분석 -첫 화면: 콘텐츠 배치와 탭 -편의 기능: 일정, 라이브러리, 검색 -핵심 서비스: 웹소설, 채팅 소설 -유저 인게이지먼트: 3시간 한정 타임챗과 댓글 -결제 방식: 건별 결제와 정기 결제, '기다리면 무료' ++ 국내 웹툰/웹 소설 서비스와 비교 Q. 래디시 CPO에게 직접 듣다 -래디시가 웹 소설 플랫폼처럼 보이지 않는 이유 -국내 서비스에는 '없고' 래디시에는 있는 것 -유저 지갑을 열게 만드는 래디시만의 전략 ** 요약 링크 : https://brunch.co.kr/@miho0429/40

하루에 1억 번다는 래디쉬, 카카오페이지 현직자가 직접 써봤다!

publy.co

하루에 1억 번다는 래디쉬, 카카오페이지 현직자가 직접 써봤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1월 6일 오후 11:3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오픈소스로 완성하는 AI Full Stack

    AI와 관련된 수 많은 오픈소스들이 쏟아지면서 오픈소스 생태계는 그야말로 AI 오픈소스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LangChain의 성공을 시작으로 많은 오픈소스들이 나오면서 AI 업계 시스템을 빠르게 메꾸고 있기도 합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1 • 조회 8,357


    < 가장 위대한 창작은 ‘경계’에서 탄생한다 >

    1. 세상에 없던 새로운 건 모두 한 사람의 상상에서 시작된다. 그 결과인 창작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더 보기


    요즘처럼 기업의 윤리경영이 화두가 된 적이 없는 것 같다. 과거에는 일종의 면죄부가 있었다. “능력이 있으면 되지, 도덕성까지 요구할 수 있나?”는 의식이 은연중에 자리 잡고 있었다.

    ... 더 보기

    [CEO 심리학] 도덕성과 능력은 별개?…한몸처럼 움직여야 이득 - 매일경제

    매일경제

    [CEO 심리학] 도덕성과 능력은 별개?…한몸처럼 움직여야 이득 - 매일경제

    조회 176


    동고동락 팀워크

    

    ... 더 보기

    DDD와 액터

    D

    ... 더 보기

    WEBNORI

    wiki.webnori.com

    WEBNO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