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애플은 돈버는 귀신이고, 아마존은 박리다매고, 구글은 저비용고수익이고, MS는 윈도우랑 오피스가 효자고, 페이스북은 광고수익이 98.5% @.@
[아마존]
- 미국 내 수익 69% & 나머지
- 온라인 스토어 수익 50.4% & 나머지 (AWS 클라우드 서비스 12.5%. 생각보다 높지 않음. 근데 이게 전세계 클라우드 서비스의 1/3이라고 함)
- 수익($281B) 대비 순이익($11.6B)이 낮음. 유통업의 마진율때문이기도 하지만, 대표적 치킨게임 전략
[애플]
- 아메리카(캐나다+미국+남미 등 다 합쳐) 45% (미국 의존율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뜻), 중국 17%, 일본 8% (애플이 중국와 일본 마켓에 공을 들이는 이유)
- 아이폰 수익 54.7%, 서비스 17.8% (수익 다각화 성공모델. 하드웨어 기업에서 서비스 기업으로 다변화 체질 개선)
-수익($260B)대비 순이익($55.2 B) 매우 높음. 모든 기업의 꿈의 모델. 하드웨어 비즈니스의 평균 마진율을 생각한다면 거의 기적적인 성과
[구글-알파벳]
- 미국 내 수익 46% & 나머지
- 광고 수익 83.3% & 나머지
- 수익($162B)대비 순이익($34.3B) 높음
[마이크로소프트]
- 미국 내 수익 51% & 나머지
- 윈도우/오피스 수익 41.4% (절대 강자 솔루션) +Azure 25.9%(클라우드 서비스) & 나머지 (Linkedin 으로 버는 돈이 5.4%나 된다니 놀라움)
- 수익($126B)대비 순이익($39.2B) 매우 높음
[페이스북]
- 미국 내 수익 45% & 나머지
- 광고 수익 98.5% (유저들의 페북과 인스타 이용 패턴을 본다면 가장 개인화/타겟팅된 광고가 가능한 플랫폼)
- 수익($71B)대비 순이익($18.5B) 매우 높음
---
The tech giants combined for almost $900 billion in revenues in 2019, greater than the GDP of four of the G20 nations. By comparison, Big Tech’s earnings would make it the #18 largest country by GDP, ahead of Saudi Arabia and just behind the Netherlan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