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사람이자, UX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주목하고 있는 시장은 '팬덤'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시장입니다. '팬덤'은 콘텐츠 플랫폼 산업에서 가장 큰 구매력을 지닌 유저이자, 시장의 변화를 목격할 수 있는 현장의 중심인데요, 음악 스타트업 스페이스오디티에서 8월 12일 '케이팝 레이더'라는 팬덤 관측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현재는 웹 중심으로 구동하는 이 서비스는 팬과 아티스트 사이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모아 보여줍니다. 단순히 음반/음원 판매량으로 실적을 체크했던 과거의 음악 시장과는 다르게 유튜브나 팬카페 혹은 트위터 구독/팔로우 증감 수 등 멀티플랫폼의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지표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팬덤'의 데이터를 보다 복합적인 시각에서 연구하고 있는 것이죠. 아티스트와 맺어지는 다양한 관계의 데이터를 뽑아냄으로 인해 차후 서비스 전개 방향 설정을 위한 숫자와 논리들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소비패턴 변화를 분석하는 측면으로도 훌륭한 케이스 스터디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내 가수의 팬덤, 얼마나 될까?…팬덤 관측기 ‘케이팝 레이더’ 공개

Naver

 내 가수의 팬덤, 얼마나 될까?…팬덤 관측기 ‘케이팝 레이더’ 공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8월 13일 오전 5:3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당신이 바쁜데도 성과가 없는 이유 >

    1.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6 • 조회 1,564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전업 소설가로서 방법을 찾지 않으면 안 되었다》

    ... 더 보기

    리더. 국어사전을 보면 조직이나 단체에서 전체를 이끌어가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지식백과사전에는 어떤 조직이나 단체에서 목표의 달성이나 방향에 따라 이끌어 가는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 구성원들에 대한 결정의 책임을 지고 또한 집단 외부와의 조정 기능의 역할도 하는 사람이라고 되어 있다.

    ... 더 보기

    [시사뉴스] 【박성태 칼럼】 리더가 독재를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www.sisa-news.com

    [시사뉴스] 【박성태 칼럼】 리더가 독재를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 

    저장 5 • 조회 509


    간밤에 또 빅 AI 업데이트가 있었군요. Claude 4 Opus, Sonnet 패밀리가 발표되었습니다.


    성능이나 다양한 능력이 향상되었고, 트렌드에 맞게(?) 소프트웨어 개발 성능이 또 크게 올랐습니다.


    ... 더 보기

    조회 1,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