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검색 지배력이 점점 약해지고 있어요

1. 검색 광고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세계 최대 검색 엔진 업체인 구글의 지배력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최근 리서치 회사 이마케터에 따르면, 약 3천억 달러(약 405조 원)에 달하는 미국 검색 광고 시장 내 구글의 올해 점유율은 50.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3. (언뜻 보면 아직도 구글이 압도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2018년 구글의 점유율 59.9%과 비교하면, 9.4% 포인트 낮아진 수치. 특히 내년에는 구글의 검색 광고 점유율이 48.3%를 기록하며 50%를 밑돌 것으로 관측됐다.

4.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구글의 가장 큰 경쟁자로 부상했다. 아마존닷컴에서 이용자들의 제품 검색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

5. (즉, 쇼핑을 위해 제품을 검색하는 사람들이 점차 아마존에서 검색을 하면서 아마존이 검색 광고 시장에서 계속 부상하고 있는 것)

6. (실제로) 2018년 시장 점유율이 10%에 불과했던 아마존은 올해에는 22.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7. (바꿔 말하면, 과거에는 이용자들에게 구글이 검색 원툴이었다면, 시장이 성숙하면서 이제 이용자들은 버티컬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플랫폼에서 검색을 하고 있는 셈. 이를테면 쇼핑할 땐 아마존에서, 영상을 볼 땐 유튜브에서, 숏폼이나 밈 트렌드를 볼 땐 틱톡에서 하는 식으로 말이다)

8. (심지어) 검색 광고 시장에서 애플의 점유율마저 오르고 있다. 2018년 2.6%를 점유했던 애플은 올해는 5.1%, 내년에는 5.2%로 소폭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9. 반면, 빙 검색 엔진을 보유한 마이크로소프트 2018년 6.7%에서 올해는 5%, 내년에는 4.8%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10. 이에 마이크로소프트는 빙 검색 엔진에서 인공지능 챗봇을 도입해 AI 생성 답변을 활용한 새로운 광고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11. 구글 또한 'AI 오버뷰'에 광고를 싣기 시작했다.

12. 디지털 광고 업계 베테랑 임원인 니 아헤네는 이렇게 말했다. "아마도 15년 만에 처음으로 구글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이 생기고 있다"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195388?sid=104&fbclid=IwY2xjawFxilZleHRuA2FlbQIxMQABHWAY5tBF5MFsHlIXhlWsseHgZEtSxZkRJGFsT4z0WPAXLENeWxMrFcBGoA_aem_6OG-vInGN1_iV64oApav4Q

구글 검색 광고 시장 지배력 쪼그라든다…대항마는 어디

n.news.naver.com

구글 검색 광고 시장 지배력 쪼그라든다…대항마는 어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0월 8일 오전 3:46

댓글 1

  • 구글의 제일 큰 경쟁자는 유튜브 아닐까요? 이제 텍스트 콘텐츠 보단 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는게 주류가 된것 같아요. 생각해보니 구글 서치엔진이든 유튜브든 같은 집 자식이긴 하네요.😅

함께 읽은 게시물

실제로 동작하는 PRD란

P

... 더 보기

The PRD That Actually Works

Brunch Story

The PRD That Actually Works



[비전공자에서 독학으로 시니어 엔지니어가 된 이야기 1탄]

20대 중반에 나를 만나 코딩을 알게 되어 2년 독학으로 엔지니어가 된 남편 이야기. 독학 준비 중인 사람들에게 도움되고자 공부 팁을 공유할 겸 독학 현실 이야기도 함께 해봅니다. 남편은 패키징 산업 공학 전공으로 졸업 후 IT 감사원으로 컨설팅 회사에 입사했습니다. (IT 감사원 경력이 엔지니어가 되는데 큰 도움이 되었는데, 그건 나중에..) 개발자인 저를 만나고 테크 쪽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코딩 독학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혼자 공부해서 개발자가 되기에는 버거웠고, 무엇보다도 남동생이 컴공 공부하다가 어려워서 포기한 것을 알기에, 선뜻 개발자가 되는 건 망설여졌습니다. 또한 이미 경력이 좀 있어서 “이걸 살려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라는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근무하던 회사는 커리어에 도움되지 않다고 판단하고 이직을 결정합니다. 약 3개월의 준비 후 경력을 살리면서 보안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사이버 컴플라이언스 컨설턴트로 테크 컨설팅 회사에 입사했습니다. 전 회사는 IT 기업이 아니어서 듣는 정보가 부족했지만, 테크/IT 쪽으로 이직하면서 많은 정보를 듣기 시작합니다. 직장 동료...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60 • 조회 6,350


쉬운 길



... 더 보기

기능 정의의 중요성

자주 사용하는 공통기능을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놓고, 필요할때 마다 참고 하는 성향이 있어서 개인적인 공간에 작업물을 정리 하거나, 나만의 모듈로 만드는 것을 종종 진행하고 있어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