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에게 주어진 책임은 막중하다. 리더십이란 권위나 자리가 아니라, 책임과 역할을 말한다. 리더가 리더다운 책임과 역할을 할 때 조직은 성장하는 법이다. 리더가 되는 사람은 그 책임의 무게를 가벼이 여기지 않으며, 책임을 다하고자 해야 한다. 리더에게 권한 이전에 주어지는 것이 바로 책임이다.


대통령 선서나 법관의 선서, 의사의 선서를 읽어보면 알 수 있다. 선서에는 “나에게는 어떤, 어떤 권한이 있다. 그러니 너희는 나를 따라야 한다.”라고 써있지 않다. 그 대신 “나는 OOO의 책임이 있으며, 이 책임을 다할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 결국 리더가 된다는 것은 큰 책임을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더에게 있어 2가지 책임은 🅰️업(業)의 안정에 대한 책임과 🅱️업(業)의 성장에 대한 책임이다. 책임이 무엇인지 인식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맡겨진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안정과 성장에 대한 두 가지 책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책임을 다하지 않는 리더는 조직을 심각하게 만든다. 리더의 위치는 많은 것을 누린다. 다른 사람보다 높은 수준의 연봉를 받고, 귄위와 결정권을 가진다. 그런데 리더가 물러난 다음 조직에 어려움이 발생했다?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있을 때만 잘 되면 되는 거 아닌가?”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있는 동안 잘하는 것 그것은 플레이어가 할 말이지 리더가 할 말은 아니다. ‘있는 동안 잘한다’는 마인드를 가진 사람은 리더의 자리에 앉지 않아야 한다. 리더의 자리에 올려서도 안된다. 리더의 자리에 있다면 내려오라고 누군가 얘기해야 한다.


리더의 올바름이란 현재의 관한 것에도 미래에 관한 것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있는 동안에는 어떻게 해서든지 조직을 생존시키고 조금이나마 성장을 시켰는지는 모른다. 그러나 미래의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는 것을 막아버렸다면 그는 리더로서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이다.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 리더가 해야 할 질문은 ✅“현재의 안정을 유지시키는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가?” ✅“불확실한 미래이지만 더 투자해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바로 이 2가지이다.


두 가지 책임을 다하는 리더는 다음의 3가지 역할을 완벽하게 한다. 1️⃣리더의 역할이란 일을 완벽하게 만드는 역할(Work Perfect), 2️⃣사람을 관리하는 역할(People Management), 3️⃣미래를 준비하는 역할(Value Creation)이다.


1️⃣‘일을 완벽하게 만드는 역할’이란 업의 안정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일이 잘 돌아갈 수 있도록 해서 조직에게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2️⃣사람을 관리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사람을 관리한다는 조직에 사람들이 들고, 나는 것, 그 과정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을 관리하는 역할은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리더와 플레이어는 다르다. 리더십의 반대말은 개인 공헌자(individual contributor)이다. 리더는 자신이 직접 그 일을 해서 성과를 내는 사람이 아니라, 구성원의 마음을 움직여서 성과를 만들어내는 사람이다. 사람을 관리하는 역할은 그래서 중요하다.


그리고 이는 3️⃣미래를 준비하는 역할과도 이어진다. 미래를 준비하는 역할이란 새로운 미래 가치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히 시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거나, 업계의 사람들을 만나는 것, 다른 업계의 사람을 만나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리더는 여유시간을 확보하고, 깊은 생각을 해야 한다. 리더가 리더다운 책임과 역할을 할 때 조직은 성장하는 법이다. 조직은 절대로 리더의 크기를 넘어설 수 없다.

누가 리더인가?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누가 리더인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0월 8일 오전 11:47

 • 

저장 2조회 7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감정은 내가 아니다. 감정을 나와 분리하라 >

    1

    ... 더 보기

    <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고 믿으며, 사람을 바꾸는 일을 한다 >

    1

    ... 더 보기

    GPT-5가 출시되면서 Function Calling에 Free-Form Function Calling과 Context-Free Grammar (CFG)를 지원하는데, 이게 숨은 보석이다.


    Free-Form은 결과를 JSON이 아니라 SQL, Python script 등의 코드등을 결과로 받거나 XML, CSV 같은 형태로도 받을 수 있다. 다만 plain-text로 주는 형태라서 주의가 필요하다. 이건 예전에도 프롬프트 트릭으로 쓰곤했던거라 그냥 맘이 좀 편해졌다(?)정도.

    ... 더 보기

    < 피터 드러커가 말한 7살도 아는 성공 공식 >

    1

    ... 더 보기

    비슷한 게시물

    Annette MJ Kim 사람과 조직의 동반 성장을 위해 일해요:D

    ‘리더’에게는 리더의 일이 있다. 직원 시절과 반드시 달라져야 하는 리더의 일은 한마디로 ‘버드아이뷰(Bird's eye view)’를 갖는 것이다. 더 이상 리더의 성과는 자신의

    Annette MJ Kim 사람과 조직의 동반 성장을 위해 일해요:D

    위임을 어려워하는 리더들이 있다. “직접 하는 게 낫다. 더 빠르고 제대로 할 수 있으니까”라는 마음의 목소리가 속삭인다. 이런 마음가짐 덕분에 리더의 자리에 올라왔을 가능성이 크

    Annette MJ Kim 사람과 조직의 동반 성장을 위해 일해요:D

    여러분 모두가 훌륭한 리더 그리고 좋은 동료라고 생각하지만, 아래 3가지 질문을 통해 스스로에게 긴장을 부여하는 새로운 기회를 가져보면 어떨까요?

    Annette MJ Kim 사람과 조직의 동반 성장을 위해 일해요:D

    한때는 직장생활에서 경험이 최고의 미덕이라 여겨졌다. 문제가 있을 땐 회사는 경험이 많은 리더들에게 조언을 구했다. 그러나 이제 연장자들은 경험만으로는 회사에서 ‘예쁨’을 받지 못

    Annette MJ Kim 사람과 조직의 동반 성장을 위해 일해요:D

    성과는 언제 높아질까? 구성원이 리더의 의지대로 움직여줄 때다. 그래서 리더는 구성원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의무가 있다.

    석민 커리어 코치

    꿈을 찾는 사람에게 보내는 143 번째 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