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화학상은 (구글 딥마인드 창립자이자 CEO인) 데미스 허사비스와, 존 점퍼가 수상했네요. 그들도 AI 분야의 빅네임이자 AI로 세상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을 야심을 가진 사람들인데요. 그들은 AI를 활용해 지금까지 알려진 거의 모든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했습니다. 2020년 그들은 알파폴드2(AlphaFold2)라는 AI 모델을 발표했습니다. 이 모델의 도움으로, 연구자들은 그때까지 발견한 2억 개의 단백질 구조를 거의 모두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알파폴드2는 190개 국에서 2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했고요. 연구자들은 이를 이용한 수많은 과학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항생제 내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고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의 이미지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사회와 과학, 환경 등 미래를 더 나은 시간과 공간으로 만드는 데 AI라는 기술을 열심히 활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노벨상을 받았네요. 2024년에는 특히 AI 분야에서 수상자가 많이 나오는 것도 인상적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0월 9일 오전 11:48

조회 1,1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회피를 해야 할까요? 방안을 찾아야 할까요?

    팀이나, 파트등의 조직에서의 생활을 하다 보면은 나의 의사와 다른 상황이 펼쳐지는 일이 꽤 많은 빈도로 발생이 되는거 같아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조직 생황을 하였지만 가장 어려운 것이 나의 의사와 다른 생각을 가지는 일들이 생기는 것들 같아요.

    ... 더 보기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에서 문제 정의하는 5️⃣ 단계

    문제 정의하기는 데이터 분석의 첫 단계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나 목적을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문제를 정의할 때 아래의 체크리스트(Checklist)들을 통해 더 좋은 데이터 분석을 만들 수 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25 • 조회 3,060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더 보기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요즘IT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2005년 7월에 일을 시작했으니,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중간에 공백이 조금씩 있었으니 꽉 채운 스무 해는 아니지만, 숫자가 주는 무게는 여전하다. 2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