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 나빠도 일만 잘하면 된다? 친절한 직원이 성과도 좋다 - 매일경제
매일경제
어제 Andrew Ng 교수가 AI의 도움을 받아 어떤 아이디어를 빠르게 구현할 때 본인이 사용하는 기술 스택을 DeepLearning.AI 블로그에 공유했는데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링크는 댓글 참조).
API & Backend: Python과 FastAPI를 사용.
Database: MongoDB를 선호. 그 이유는 NoSQL이라 스키마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일단 이걸로 구현해보고 나중에 다른 관계형 DB로 이전.
Local testing: 개인 컴퓨터에서 백엔드 서버를 테스트하는 용도로 Uvicorn을 사용. Uvicorn이란 걸 처음 들어봤는데 FastAPI와 같이 쓰는 것이 일반적이며 로컬 환경에서 디버깅하고 개발하는데 편리하다고 함.
Deployment: 클라우드 환경으로 배포할 것이라면 작은 앱은 Heroku를 사용하고 덩치가 있는 앱은 AWS Elastic Beanstalk을 추천. 다른 옵션으로는 HuggingFace Spaces, Railway, Firebase, Vercel 등등이 존재
Coding Assistance: 개념을 잡고 디자인을 할 때는 O1이 더 좋고, 코딩을 할 때는 Claude 3.5 Sonnet이 더 잘하는 것 같으며 코딩을 할 때는 Cursor를 사용하기도 함.
중요한 포인트는 나에게 아주 익숙한 프로포타입용 풀스택을 익혀서 빠르게 iteration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1월 10일 오후 9:45
2019년 저서 <생산성 마스터가 되는 비법(How to be a Productivity Ninja)>으로 인기를 얻은 그레이엄 올콧은 투자은행을 대상으로 연설을 했는데 “친절함이 모든 것의 원동력이 된다. 당신이 친절하면 이긴다. 그게 전부”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청중은 이에 동의했지만, 일부는 매우 강하게 반대했다.
... 더 보기📰 대학생이 40년만에 해시테이블의 성능 향상을 이뤄냈다고
... 더 보기동네에 싱크홀 생기고 산불은 심각하고 날씨는 여름과 겨울 사이 정신 못차리고 정치는 어지럽고 경제는 엉망이고 밥벌이도 냉랭한 어수선한 상황이지만, 살아있는 이상 살면 살아져야하다보니 주중에 외부 일정이 없는 틈을 타 밀린 일들을 하고 있다.
... 더 보기프롬프트: Product-Market Fit의 기준을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 Y-combinator의 기준으로 설명해줘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