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부가가치는 커녕 생산적인 노동조차 안해본 시위꾼들의 사고방식이 이렇다. 다른 이들의 생산성 증대를 고작 이정도로 밖에 판단해주질 못한다는 뜻이다. 1차원 적인 해법을 정의롭다고 주장하는 것도 어처구니가 없다.

"어려울 때 부자 돈 쓰자"…'코로나 재난세' 꺼내든 정의당

한국경제

"어려울 때 부자 돈 쓰자"…'코로나 재난세' 꺼내든 정의당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1월 26일 오후 3:0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프리미어리그를 비롯한 유럽 축구리그에는 한국에서 뛰는 모든 축구 선수들의 연봉을 합한 것보다 수십 배가 넘는 돈을 버는 선수들이 즐비하다. 이런 일이 왜 가능할까?

    ... 더 보기

    [허연의 책과 지성] 1:99 양극화 사회선 결국 1%도 불행해진다 - 매일경제

    매일경제

    [허연의 책과 지성] 1:99 양극화 사회선 결국 1%도 불행해진다 - 매일경제

    자바진영의 다양한 동시성처리

    ... 더 보기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더 보기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요즘IT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배포했으면 스펙이지"

    어떤 서비스가 버그를 가진채로 출시되었고, 사용자들이 그 버그를 전제로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리고 그 위로 너무 많은 새로운 기능들이 쌓여있다면 그건 버그가 아니라 스펙(기능)이라는, 언젠가부터 들었던 업계의 유명한 블랙 유머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