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지능은 언제든 쓸 수 있는 도구가 된 만큼, 주도성이 더 중요해졌다


OpenAI 의 초기 멤버이자, 테슬라에서 AI 팀을 이끌었던 안드레이 카르파시(Andrej Karpathy)가 트위터에 올린 글


나는 수십 년 동안 이 문제를 직관적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

아마도 사회 전반에 퍼져 있는 지능(Intelligence)에 대한 찬양, 각종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의 영향, IQ에 대한 집착 때문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주도성(Agency)은 훨씬 더 강력하고, 훨씬 더 희소한 특질이다.

당신은 채용할 때 주도성을 기준으로 삼고 있는가?

우리는 교육을 통해 주도성을 키우고 있는가?

당신은 마치 10배 더 강한 주도성을 가진 사람처럼 행동하고 있는가?


Grok의 설명이 꽤 근접한데, 다음과 같다:

주도성(Agency)이란 성격적 특성으로서, 개인이 스스로 주도적으로 행동하고, 결정을 내리며, 자신의 삶과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태도를 뜻한다. 

주도성이 높은 사람은 삶이 자신에게 일어나도록 내버려 두지 않고, 직접 만들어 간다. 

이는 자기 효능감, 결단력, 그리고 자신의 인생에 대한 책임감을 결합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주도성이 강한 사람은 목표를 세우고, 장애물이 있어도 자신감을 갖고 밀고 나간다. 이들은 ‘어떻게든 해결할 거야’라고 말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해결해낸다.

반면, 주도성이 낮은 사람은 자신의 삶에서 주도권을 쥐기보다 수동적인 태도를 보이며, 운이나 타인, 외부 환경이 자신의 미래를 결정짓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주도성은 단순한 자기 주장(assertiveness)이나 야망(ambition)과는 다르지만, 일부 겹치는 부분이 있다. 하지만 그것은 보다 내면적인 특성으로, ‘내가 행동할 수 있다’는 믿음과 ‘실제로 행동하는 의지’가 결합된 것이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통제 위치(locus of control)’ 개념과 연관 짓기도 한다. 주도성이 높은 사람은 내적 통제감을 가지며,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한다고 느낀다. 반면, 주도성이 낮은 사람은 외부 통제적인 경향을 보이며, 삶이 자신에게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와이 컴비네이터의 CEO인 게리 탄(Garry Tan)도 트위터에서 말했다.

Intelligence is on tap now so agency is even more important
“이제 지능은 언제든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되었으므로, 주도성이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10월 13일 오전 9:53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