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제방송에는 자주 나오던데..왜 한국엔 안나올까요?
YouTube
액티브 투자 vs 패시브 투자 수익률은 어디가 더 나을까? 오랫동안 논쟁이 되는 주제이고 통찰력있는 개별주체가 시장성장이나 절대수익율을 이길 수 있느냐 인데 김단테님이 각개념을 차근차근 설명해주는게 매우 재미있고 의미있어요! 특히 지금은 기술혁명의 시대이니 다르게 봐야되는거 아니냐라는 접근을 긴 시점으로 봤을때 늘 있었던 관점이라고 설명하는 부분도 재밌습니다. 하지만 당장 눈앞에 높은 수익율이 났는데 내가 더 나은거 아니야?(전에없이 강세장이기도 합니다만..) 라는 접근에 대해서는 기간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당장 기회를 발견하여 엄청난 수익을 낼 수 있지만, 투자기간을 길게가져가면 가져갈수록 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개인은 패시브의 수익율에 수렴하거나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콘텐츠 내에서도 나오는데 정보의 보편화가 액티브 투자 수익율 달성에 장기적으로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적용 할 수 있는 분석방식과 투자전략이면 더이상 특이한 점이 아니기 때문에요. (비상장 투자가 여전히 액티브의 영역인 이유도 이거입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점진적으로 패시브와 결합 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부분적으로는 시도되고 있는면도 있고요) 저도 비상장 영역에서의 액티브 투자자이기 때문에, 어떻게하면 절대수익율을 초과한 수익을 낼 수 있을지 늘 고민하고 있습니다.
2020년 12월 22일 오전 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