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패션연구소, '21년 패션 시장 전망 및 '20년 패션 산업 10대 이슈 선정
Fetv
10가지 이슈로 돌아보는 2020 국내 패션 시장🧵 올해의 키워드 UNEXAMPLED(전례없는)의 알파벳을 딴 10가지 포인트를 읽어보세요. 차려입을 일 적었던 2020년 패션계에도 성장한 카테고리와 플랫폼이 있었다는 점 참고하시고, 사회적 거리두기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내년에는 어떤 소비 형태를 보일 것인지도 예측해보면 좋겠네요! 패션위크 시대의 몰락을 어떤 콘텐츠로 극복할지도 궁금해집니다. 1. Untact Society : 비대면 사회 - 유동인구가 많은 백화점과 복합쇼핑몰 매출 하락 2. Nearby ‘Home’ : 슬기로운 집콕 생활 - 집에서 입는 편한 스타일이 인기를 끌며 라운지웨어 카테고리 성장 - 재택근무로 상반신을 강조하는 '키보드 드레싱' 새로운 트렌드로 떠올라 3. E-Commerce Pivoting : 이커머스로의 소비축 이동 - 온라인 매출은 가파르게 성장, 하이엔드 럭셔리 브랜드도 이커머스 경쟁 시작 - 라이브커머스 시장 규모는 올해 3조원, 2023년 8조원대 예상 4. X-out The Rule : 기존 규칙의 아웃 - 기존 출근복 중심 마켓 타격 - 백화점 MD개편에 맞추던 브랜드 론칭 스케줄도 무색해짐 5. Activewear Everyday : 스포츠웨어의 일상화 - 혼산, 차박 트렌드로 아웃도어 브랜드의 재도약 - 스포츠와 캐주얼 영역을 넘나드는 애슬레저룩 인기 6. Money Game of Shopper : 소비는 곧 투자 - 리세일(재판매)를 염두에 둔 소비자 타겟으로 럭셔리 브랜드 상품 대거 출시 - 리세일 플랫폼 급성장 7. Platform Hegemony : 플랫폼 패권주의 - 검색>쇼핑>결제>콘텐츠의 선순환을 통해 쇼핑 생태계 구축 - 10대 소비자는 플랫폼 자체를 브랜드로 인지하는 경향 8. Long-life Fashion : 서스테이너블 패션의 도약 - 필환경 시대, 지속가능패션 화두 9. End of Runway : 런웨이의 종말 - 50년간 유럽 중심으로 이어져온 런웨이 중심 패션위크에 타격, 패션산업 재정비 계획 10. Direct to Gen Z : Z세대 중심으로 재편되는 패션 마켓 - Z세대가 많이 쓰는 쇼핑 앱이 곧 패션 앱 사용자 순위 상위권
2020년 12월 29일 오후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