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18 회사에서 본인을 빠르게 성장시키는 방법 - People Scaling
YouTube
센드버드 김동신 대표가 알려주는 빠르게 성장 하는 법 스타트업 물리의 법칙 "사람들은 선형적으로 성장하고, 기업들은 기하 급수적으로 성장 한다." 회사의 성장 속도에 개인의 성장을 맞추는 것이 가장 '이상적' 이지만, 대부분 회사의 성장에 개인이 성장하는 것에 대한 한계가 있으므로 회사가 어느 정도 성장 단계에 올라 탔을 때는 외부 영입을 통해 역량을 '수혈' 합니다. 스타트업인 경우 대부분 기하 급수적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이러한 성장 속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스스로 지속적으로 NEXT LEVEL 의 Thinking 으로 성장 하려고 노력 해야 합니다. 1. 내 성장의 피드백의 사이클을 더 짧게 만들어라! - 연간/분기별 멘토링을 2주 단위 또는 한달 2번 정도로 사이클을 더 짧게 만들고, 동료 (팀장/대표) 들의 피드백과 자기 회고를 통해 스스로 어느 정도 성장 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 내가 조직 드라이버 인가 병목인가 - 조직이 작을 때는 소수의 인원이 많은 일들을 해 나갑니다. 회사가 성장 하면서 일은 더 많아지고 더 많은 것들을 해야 합니다. 이 때, 회사가 계속 성장함에 따라 일은 더 늘어나지만 그럴 수록 이제는 더 적은 것들을 제대로 해야 합니다. 3. 추상화 Layer 를 오갈 수 있어야 올라 간다. - 지금 당신이 어느 레벨이던 두 레벨 위의 업무가 어떻게 진행 되고 있는지 알아야 하고 미리 그 업무에 대한 이해를 해야 더 위의 Level 로 올라 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무자라면 관리자들이 어떤 업무를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하고 관리자라면 실무에서 더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4. 나로 인해 팀 수준이 올라 가고 있는가? 스티브 잡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Be a yardstick of quality. Some people aren't used to an environment where excellence is expected." 현재 보다 더 나은 방법을 끊임 없이 공부하고 제시 해야 합니다. 5. 강점에 집중하고, 약점은 팀원들과 보완 한다. - 모두에게는 자신만의 슈퍼 파워가 있습니다. 본인의 슈퍼 파워를 극대화 하고 약점은 다른 팀원의 슈퍼 파워로 보완해야 합니다. 6. 나 스스로 6-12개월 마다 해고 할 수 있는가? - "what got you here won't get you there." Marshall Goldsmith (애벌래가 나비가 되는 것에 대한 격언) 6개월 뒤에 내 Job description 을 다시 정리하면서 지난 업무를 회고 하면서 내 성장을 돌아볼 수 있어야 합니다. 7. 내 두뇌가 자신에 함몰 되지는 않았는가? - 극도의 스트레스나 생존을 앞에 두고는 사고의 시점이 굉장히 짧아 집니다. 특히 고객과 상품에 대한 사고가 깊어지지 않고 자신에 대한 사고가 깊어지기 시작하면... 본인의 뇌가 꺼지는 시점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8. 스스로 내적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가? - Relatedness (관계성) : 사람들과의 관계과 소속감 - Autonomy (자율성) : 자기주도적인 환경 - Mastery (숙련) : 학습과 성장을 통한 몰입 - Purpose (목적) : 의미 있는 일, 조직, 삶
2021년 1월 9일 오전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