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정량적인 목표에 실패할까?> 많은 글에서 두루뭉실한 문장 되신 정량적인 목표를 세우라고 조언합니다. 진행도와 완료 여부를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고, 측정할 수 있으니 개선도 가능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정량적인 목표를 세운다고 해서 항상 이를 이룰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그렇다면 정량적인 목표를 좀 더 수월하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이 글은 목표를 달성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설정해야 도움이 된다고 말합니다. 단순히 정량적인 목표를 세우고 반복하다보면 어릴 적 밀리던 학습지 숙제 같은 기분이 들기 쉽고, 이에 따라 부채감과 자책만 커지기 십상입니다. 하지만 목표 달성 시 적절한 보상이 주어지게 되면, 뇌에서 보상회로에 쾌락을 느껴 실행을 하도록 유도한다고 합니다. 새해 다짐과 목표를 세우는 1월이니만큼, 목표 달성 시에 스스로에게 어떤 보상을 줄 수 있을지 생각하며 이를 설계하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 - "글읽기는 읽을 글을 찾는데 시간을 다 써버려서 지치게했고, 매일 읽을수록 지식이 쌓이는 것 처럼 못하는 날이 생길수록 마음의 짐도 쌓이게 되었습니다. 글쓰기는 누가 억지로 시키는 숙제처럼 느껴져 세번째 글쓰기부터는 '다음달에 두개쓰면되지..' 하며 타협했고 결국엔 아예 없던 일이 되어버렸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목표에 실패하는 것은 의지력의 문제가 아닌 🧠 뇌의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행동으로 얻는 🔥 쾌락과 보상이 있으면 🔁 반복할 수 있고 반복되면 습관이 되어 ⭐️ 목표를 이룰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량적인 목표는 언뜻보면 실현가능성이 높아보이지만, 목표를 세우는 이유와 보상방법을 고려하지않고 세우는 정량적인 목표는 의미없는 숫자 채우기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왜 정량적인 목표에 실패할까?

eunho's Notion on Notion

우리는 왜 정량적인 목표에 실패할까?

2021년 1월 17일 오전 11:54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