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과 책임, 그리고 위계와 권위. 이것들이 섞여 있는 조직의 권력 관계(?) 역학 관계와.. 협의/합의 주도 문화가 어설프게 얽혀버리면... 모두가 대충 동의하는 그런 큰 범위의 의사결정에 대해서는 각자 자율 하에 쉽게 의사결정을 하고 가겠지만, 다수의 이해관계가 충돌하거나, 뭔가 리스크를 지는 의사결정을 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협의/합의라는 좋은 워딩 뒤로 숨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자신의 의견을 먼저 가지고 있어야 하고, 그것을 정리해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그리고 치열하게 토론할 수 있어야 하고, 특정한 분야/아젠다에 대해서 누가 의사결정한다는 룰을 가지고 있고, 의사결정권자들은 의사결정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며, 모두 그 의삭결정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따르고 실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19. PM) '합의' 주도문화의 문제점들

Brunch Story

#19. PM) '합의' 주도문화의 문제점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3월 17일 오전 4:1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한 여름 밤의 콘텐츠 클럽 모집 안내

    1

    ... 더 보기

    [썸원 이벤트] 한 여름 밤의 콘텐츠 클럽 모임 안내

    somewon on Notion

    [썸원 이벤트] 한 여름 밤의 콘텐츠 클럽 모임 안내

    조회 321


    최근에 발견한 신박한 뉴스레터 Top 4

    1. 롱라이프랩(LLNC) : 시니어 비즈니스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뉴스레터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 필요한 생각과 레퍼런스를 전해주는 뉴스레터입니다. 건축학 박사 과정 중인 분께서 운영하는 뉴스레터라서, 마치 논문처럼 꼼꼼하게 사례를 분석해

    ... 더 보기

     • 

    조회 428


    생각해볼 부분이 많은 chart

    우리는 이런 세상에 살고 있고, 이중 몇몇은 더 잘될것이고, 몇몇은 말이되는 multiple로 내려올것.


    < 왜 어떤 제품에만 '열광적인 팬'이 생길까요? >

    1

    ... 더 보기

    절대 폭락하지 않는 투자처

    ... 더 보기

    < 잡초를 없애려면 잡초 말고 오히려 잔디를 깎아야 한다 >

    1.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일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