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orepo? Mutirepo? 에 관해 개념적인 소개, 그것을 좋다고 생각하는 쪽의 이야기들과,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쪽의 이야기들을 잘 정리해둔 재미있는 아티클입니다. 생각해보면, 당연스럽게 언어별로 / 플랫폼별로 / 서비스별로 / 프로덕트별로 다른 Repository를 사용하곤 했는데, 이것에 대해 크게 의심해본적은 없는 것 같네요.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팀의 철학, 문화와 깊게 연결이 될 수 있는 내용일 것 같습니다.

What is monorepo? (and should you use it?) - Semaphore

Semaphore

What is monorepo? (and should you use it?) - Semaphore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3월 21일 오후 2:3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 더 보기

    <'책 한 권에 딱 한 줄만 가지겠다'라는 마음으로 책을 읽는다>

    1. 적지 않은 사람들이 하는 말이 있는데 바로 '책을 읽긴 했는데 아무 생각도 떠오르지 않는다'라는 것이다. 목적 없이 책을 읽은 탓이다. 나 같은 경우에는 딱 한 줄만 가지겠다는 마음으로 읽는다.

    ... 더 보기

    제가 잘못한 게 아니라고요?

    큰 장애를 냈어요. 사소한 실수였죠. 연봉을 뱉어내도 메울 수 없는 손실을 냈어요.

    ... 더 보기

     • 

    댓글 6 • 저장 38 • 조회 7,708


    지나간 버스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688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것이지만, 회사에서 내가 무언가를 이뤘다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가소로운 생각이었나 싶다. 팀과 조직이 클 수록 그렇다. 나의 결과는 결국 내가 있는, 나를 둘러싼 환경이 결정하는 것이라서, 잘했다고 설레발도, 못했다고 좌절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뒤늗게 깨달았다.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