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비즈니스에서 찬덤은 더 중요해질 것 같다. 그를 위해선 관점, 속도, 공감이 필요하지 않을까. 그를 기반으로 콘텐츠 생태계는 커뮤니티화가 이뤄질 수도 있을 것이다. 팬덤 커뮤니티 안에서 콘텐츠 생태계가 작동하는 구조랄까.  _  ‘워크맨’의 성공 요인으로 “장성규 캐릭터, 알아서 스킵해 주는 편집, 공감할 수 있는 소재 등 3박자가 맞은 결과”라고 평가한 김 CP는 “디지털 콘텐츠의 성공 여부는 팬덤화”라는 점도 강조했다. 영상을 업로드한 뒤 실시간으로 달리는 댓글 반응을 꼼꼼히 살피는 것은 물론이다. 시청자 요청이 가장 많았던 에버랜드 편을 2편으로 나누어 방송한 것도 시청자 의견을 반영한 결과다.

'와썹맨' 이어 '워크맨'까지... '웹예능 흥행 마술사' 김학준 CP

Naver

'와썹맨' 이어 '워크맨'까지... '웹예능 흥행 마술사' 김학준 CP

2019년 12월 6일 오전 7:25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