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은 6페이지로 말합니다》
글쓰기 역량은 디자이너에게 점점 더 중요해졌습니다. 가장 효율적인 도구로서 생각을 논리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디자인이 문제 해결의 과정으로서 인식되면서 글쓰기 역량은 더 중요해졌는데요. 아마존을 상징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 '6페이지 문서'에 담긴 구조를 살펴보면 글쓰기 역량이 개인의 많은 역량을 포괄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6페이지 문서 구조]
➀ 서문 - 배경, 프로젝트 차별점과 특징
➁ 목표 - 세 단어 이내로 숫자로 작년 성과와 비교해 작성
➂ 프로젝트 관련 아마존 리더십 원칙 - '14개 리더십 원칙'을 프로젝트에 적용
➃ 프로젝트 현황 - 잘 된 점과 위험 요소를 수치로 증명하여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요소 발굴
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운 점 - 기대, 해석을 배제하고 실패한 원인을 중심으로 작성
➅ 전략적 우선 순위 - 해야할 일을 목표 관련도, 중요도에 따라 설명하며 실행 가능한 계획
➆ 마무리 - 5문장 이내로 긍정적이며 미래 지향적으로 작성
➇ 부록 - 시각화 자료 등
[ 큐레이터의 문장 🎒 ]
프리젠테이션도구(키노트, 파워포인트 등)를 사용하게 되면 보이는 것, 비쥬얼 요소까지 신경을 쓰다 보니 본질에만 몰입하기가 어렵습니다. 6페이지 문서를 먼저 만들고 난 이후에 필요할 경우 키노트 문서를 만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실제로는 약 10페이지에 이르는 문서도 있지만 본문 6페이지는 온전히 글로만 써야 합니다. 구분점을 넣을 수 있도록 허락하는 항목은 두 개(➁ 목표, ➂ 프로젝트 관련 아마존 리더십 원칙) 뿐인데요. 그 이유가 명쾌합니다.
➀ 글의 논리가 완벽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시각자료는 부록에 넣도록 해서 글을 읽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며 글로써 충분한 논리를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죠.
➁ 과장과 왜곡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재미있게 쓰는 대신 담백하고 사실에 기반해서 담담히 적어야 합니다. 분량이 제한되어 있다보니 불필요한 예시, 비교, 대조 등을 통해 프로젝트에 대해 오해할 수 있는 소지가 줄어드는 것이 '6페이지 문서' 커뮤니케이션의 강점이죠.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 ]
➊ 아마존 리더십 원칙
https://www.amazon.jobs/en/principles
➋ 아웃스탠딩, 《아마존의 상징 '6페이지 문서', 어떻게 쓰는지 들여다봤습니다》
https://outstanding.kr/amazon6pagers202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