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롭박스가 콘텐츠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 드롭박스 블로그에 방문했다가 한 아티클(링크) 하단에서 콘텐츠 만족도를 묻는 섹션을 봤다. 개별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는 외부 솔루션으로, 질문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How insightful was this article? (Tap to respond) - Extremely Insightful - Insightful - Neutral - Uninsightful - Extremely Uninsightful 기존의 콘텐츠 평가는 보통 브랜드가 자체적으로 3단계 정도(좋음, 보통, 나쁨)로 받거나 NPS와 같은 형태로 피드백을 받는 형식이 대부분인 것 같다. 이 새로운 방식은 꽤 자리를 차지하면서도 묻는 방식이 새롭다. (insightful이라는 단어를 내세운 것도) 평가를 클릭하면 다음 질문으로 관심 토픽을 묻기도 한다. (Which topics interest you most?) 잘 수집된 독자의 평가 데이터는 이후 콘텐츠 전략의 크고 작은 조정에 실제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핵심은 독자가 이렇게까지(?) 평가에 참여하도록 잘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게 아닐까. 이 솔루션이 드롭박스 콘텐츠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좀 더 알고 싶다. (참고) 콘텐츠 만족도 솔루션: KNOTCH https://knotch.com/

An email expert on how to write clear, kind, and effective messages remotely

Dropbox

An email expert on how to write clear, kind, and effective messages remotely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4월 22일 오전 9: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인성 없는 실력자를 대하는 마음가짐

    실력은 갖췄지만 인성이 나간 사람을 만났을 때는 내가 기준을 더 높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어차피 그 사람보다 실력이 더 좋은 사람은 반드시 있을 거다. 그렇다면 그 사람보다 더 잘하는 사람을 두고 인성 터진 사람을 비교당하는 위치에 두면 그 사람이 뭐라고 하든 별로 신경 안 쓰게 된다. 아무리 본인이 독한 말을 뱉어도 그 사람은 인성까지 갖추고 그 사람보다 더 잘하는 사람보다 못한 사람이다. 그냥 인성 터진 사람이지. 사실은 본인이 더 잘 알 거다. 실력은 부족한 인성에 대한 알리바이가 되지 않는다.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7 • 조회 1,391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


    [일터의 근육] 컬리 일잘러들의 공통점

    '

    ... 더 보기

    내 옆 일 잘하는 동료가 가진 것

    Brunch Story

    내 옆 일 잘하는 동료가 가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