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가 인터뷰 내용 중 인상깊은 내용들을 발췌한 글입니다. 데이터 분석가로서 중요 역량 5가지로 나누자면 문제 정의, 기술력, 분석력, 해석력, 영향력 "문제 정의" - 풀어야 할 문제를 제대로 인지하는 것 - 머신러닝 모델이나 베스트 케이스를 종착점으로 삼아 프로젝트 착수를 하는 실수가 아닌, - 모델이나 베스트 케이스는 내가 풀어야 할 문제와 전혀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기술력을 갖춘다는 것" - 기술이 중요한 이유는 속도를 담보하기 때문이다. - 같은 업무의 양과 수준을 제한된 시간 내에 혹은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것 - 수많은 기술 트랜드 중에 나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골라내는 안목 "Model Thinking" - 내가 풀어나가는 방식을 모형화하는 것으로 전체 프로세스 중 핵심적인 부분을 어떻게 정규화하여 비즈니스 모델 또는 엔지니어링 모듈처럼 다룰 수 있을까? "분석 결과가 원하는 기획 방향대로 나오지 않을 때?" - 분석의 목적으로 돌아가 있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 세운 가설이 옳은 가설이 아니라 통념 또는 나도 모르게 생긴 인식으로 세운 가설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른 조직과 협업할 때 영향력 있는 분석가가 되려면 데이터셋을 서비스 관점에서 바라보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 인터뷰를 읽으며 제가 현재 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도 문제 인식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실수하고 있는 부분이 떠올랐습니다. 가설을 세운다는 것이 정말 어려운 일인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곱씹어 생각하고 옳은 것인가? 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할 줄 아는 자세가 중요한 것 같아요.

데이터 업계 고수와의 인터뷰 01 - 박용재 데이터 분석가님

SPH

데이터 업계 고수와의 인터뷰 01 - 박용재 데이터 분석가님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8일 오후 12: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왜 나는 그때 그 선배의 말을 듣지 않았을까? >​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 더 보기

    브랜드 경영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경영자는 이 질문에 “브랜드를 운영하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 답변에 재차 확인을 구하는 질문을 하면 멋쩍은 웃음과 함께 “브랜드를 ‘잘’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더 보기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The Unitas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조회 322


    지나간 버스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775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 이직을 고민하는 당신이 던져야 할 단 3가지 질문 >

    1. 커리어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일단 내가 가진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남들의 시선과 판단도 무시할 수 없다. 이직 트렌드와 경향도 살펴봐야 한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6 • 조회 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