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Index)를 만들 때 생각해 볼 것들 '지표(Indicators)'와 '지수(Index)'는 자주 쓰는 말입니다. 흔히 지표는 'KPI'의 'I'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어떤 대상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죠. 지수는 '주가 지수', '빅맥 지수'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질한 집단이 어떻게 변해가는지 보기 위해 만든 숫자입니다. 기업에서도 지표와 지수는 많이 사용하고 혼용되기도 합니다. 지표는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집니다. 사실상 기업에서 다루는 숫자의 상당수는 모두 지표입니다. 매출부터 클릭률까지 지표가 아니고서는 정량적인 이해가 어렵습니다. 지수를 만들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어떤 현황을 합의된 기준에서 앞으로 계속 제공해야 하거나 내부적으로 한 주제를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계속 추적하고 다른 성과 지표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지수를 새로 만들기도 합니다. 이번 아티클은 Turn-over, Reaction-rate 등 단순히 기존 데이터를 사칙 연산해서 뭔가 만드는 지표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지수를 개발해야 할 때 고려해봐야 할 내용을 공유합니다. 대표성, 상대적인 거리, 인덱스의 불변성입니다.

'지수(Index)'를 만들 때 생각해 볼 것들

Brunch Story

'지수(Index)'를 만들 때 생각해 볼 것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12일 오후 10:2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명 선수는 명 감독이 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감독이 되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생겨난 말이다. 신이라 불리던 디에고 마라도나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지만 남아공 월드컵에서 그들 기준에 한참 못 미친 8강에 그쳤다.

    ... 더 보기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조회 414



    < 해결책 과잉 시대, 이제는 의미가 답이다 >

    1. 과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해결책의 양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더 보기

    《23분》

    ... 더 보기

    ❶경영진이 인재관리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54%)

    ... 더 보기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일리경제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