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객이 기억하는 글 쓰는 법 > 기억이 잘되는 글의 특징 중 하나는 ‘생각하게' 만드는 글이다. 단순 반복 노출시키는 것보다 고객이 적극적으로 생각하게 만들어야 한다. 질문은 반드시 생각을 이끌어낸다. 오히려 질문을 받고 대답을 생각하지 않는 것이 더 힘들다. ‘어릴 적 꿈은 무엇인가?’ 이 질문을 받고 대답을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질문을 받으면 우리 뇌에는 자연스럽게 ‘지식의 공백’이라는 공간이 만들어지고 자동으로 이를 메우는 작업을 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도구가 생각이다. < 유용한 3가지 유형의 질문 > 1. 호기심을 자극하는 질문 ex. "○○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요?" "보다 저렴하면서 효과가 검증된 제품이 있다면 어떨까요?" 2. 기억을 회상시키는 질문 ex. “지난번 메일에서 ○○가 귀사에 꼭 필요한지에 대해 말씀드린 두 가지 이유를 혹시 기억하시나요?” 3. 의견을 요청하는 질문 ex. “지난번 메일에서 말씀드린 부분과 관련해 데이터 공유가 가능한지요?”, “이번에 소개드린 ○○에 대해 흥미로운 점이나 추가로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의견 부탁드립니다.”

'지식의 공백'을 만드는 질문이 중요한 이유.. 고객이 기억하는 글을 쓰려면ㅣ인터비즈

네이버 블로그 | 안전보건공단 공식블로그

'지식의 공백'을 만드는 질문이 중요한 이유.. 고객이 기억하는 글을 쓰려면ㅣ인터비즈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14일 오전 7:2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23분》

    ... 더 보기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❶경영진이 인재관리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54%)

    ... 더 보기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일리경제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명 선수는 명 감독이 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감독이 되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생겨난 말이다. 신이라 불리던 디에고 마라도나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지만 남아공 월드컵에서 그들 기준에 한참 못 미친 8강에 그쳤다.

    ... 더 보기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조회 386


    50세 이전에 임원 안되면? 그럼 나가야지! I 대기업 임원 퇴사 이유

    5

    ... 더 보기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