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보다 센 녀석이 온다... '디파이' 금융상품 주의보
Naver
[ 코인, 트레이딩을 넘어 금융 상품으로 ] 미국의 송금결제시장에서 각 결제수단이 차지하는 비율 (중복선택 가능) - 온라인 서비스가 51%로 1위 - 가상화폐가 15.8%로 4위 하지만 이제는 단순 트레이딩을 넘어 금융 상품으로 발전하고 있다. 디파이(decentralized finance): 가상 화폐로 만든 일종의 탈중앙화된 '온라인 금융 상품' 이더리움이나 USDT 같은 가상 화폐로 익명으로 투자하며, 블록체인 전문 업체나 개발자가 만든 블록체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운영된다. 🪙 디파이의 특징 - 비트코인 이후 등장한 ‘2세대 블록체인’을 이용 - 가상 화폐를 자동으로 거래할 수 있는 명령어(스크립트)를 입력해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콘트랙트(smart contract)’ 기능이 있기 때문 - 예금과 대출 같은 간단한 상품으로 시작해서 현재는 외환과 보험, 신탁 등 다른 형태의 금융 서비스로 확장 중. 따라서 가상 화폐의 활용 분야가 커짐 🪙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상품은 예치 상품 - 우선, 10%를 넘는 높은 이자를 제공하기 때문 - 또한, 예치 투자자들은 디파이 플랫폼에서 발행한 자체 가상 화폐(거버넌스 코인)를 받는데, 이 코인이 가상 화폐 광풍을 타고 주요 가상 화폐 거래소에 상장되면서 가격이 급등, 추가 수익을 내게 해준다 🪙 디파이의 숨은 위험 1. 가스비 (수수료) - 인기 가상 화폐인 이더리움을 이용해 디파이에 투자할 경우, 복잡한 가상 화폐 교환(스왑)·예치·출금 과정에서 수십만원씩 수수료가 나가는 경우도 발생 - 따라서 많은 금액을 반년 이상 넣어야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2. 이자율 변동 3. 제도권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원금 보장도 없다 그래도 영향력은 클 것으로 예상 - 디파이는 돈을 입금받아 운용한 뒤 수익을 정산해 나눠주는 모든 역할을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맡아 하니, 금융기관 자체가 필요 없어지는 것이다 - 디파이 시장에선 이미 금과 은, 원자재, 달러, 각종 주가지수 등 실물 자산 가치를 가상 화폐(토큰)화해 추종하는 파생금융상품(합성 자산)이 등장해 인기를 끌고 있다 - 신세틱스(Synthetix)가 대표적인 합성 자산 플랫폼으로 현재 기준 예치 자산 약 2조 1200억원 결제시장 통계: https://www.forexlive.com/Education/!/can-cryptocurrencies-replace-fiat-in-the-future-20210315
2021년 5월 15일 오전 6:52
ㅋㅋㅋ 디파이스캐머들이젤많은건슬픈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