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왜 이걸 좋아하죠?> 최근 기자말고 여러 직군에 관심이 생겼는데 그 이유를 정리하려고 한다. 일단 나의 경험은(자잘한 대외활동은 생략), 1. 뉴스포털에 메인기사 두 건을 게시한 적 있음 -> 글쓰기 2. Usability 와 UX 공부 중 -> UX에 대한 이해도 높이기 이 두 가지를 연결해서 하고 싶은 일은 UX 라이팅. 긴 글보단 핵심이 담긴 짧은 호흡의 글을 선호하고, 효과적인 글쓰기에 관심이 많다. UX에 대한 인사이트가 부족하다는 게 현재의 단점..(물론 온라인 코스가 끝나면 달라지겠지만) 어제 커리어리에 올라온 채용공고에서 '콘텐츠 마케터' 직군을 발견했다. (1) 유저 리서치, 니즈를 파악 (2) 콘텐츠 기획 (3) 핵심 정보가 담긴 명료한 글쓰기. 총 세 가지가 핵심 역량인 듯 하다. (1),(2)는 아직 "나 완전 잘해요!" 수준은 아니지만, (3)은 기사 작성 경험과 훈련으로 축적된 가장 자신있는 스킬이다. 기자, 에디터, UX 라이팅도 독자와 유저에게 명확한 정보를 콘텐츠로 전달하는 업무다. 사용자와의 접점을 늘리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이 직군들의 핵심 역량은 '유저'를 파악하고, 그에 맞춘 기획과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나는 이런 게 좋은가봐.. 글쓰기만으로 노동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거란 생각은 잊은 지 오래다. 취재기자 연수과정이 끝났을 때도 "이제 시작이다"라고 생각했다. 그와는 별개로 동기들이 하나 둘 취업할 때마다 받는 또래압력은 가끔 버겁긴 했다. 하지만 지금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놨고 지난 몇 달과는 다를 거란 기대가 있다. 그래서 오늘 UX 온라인 코스 한 섹션, 포토샵 실습과 과제 5건, 시사상식 스터디 준비를 끝냈다. 이번 달 초까지만 해도 기분이 unmotivated 그 자체였는데, 요샌 다음 날 공부하고 싶어서 일찍자고 일찍 일어난다. 공부가 끝나면 커리어리에 기록을 남기는 것도 재밌다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26일 오전 10:5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회사 경영진이 해결해야 할 '진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거나 전달하지 못해, 기술진·실무진이 잘못된 지표를 최적화하거나 가치가 낮은 영역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더 보기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cm.asiae.co.kr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마이크로소프트(MS)가 대규모 해고를 예고한 가운데 해고 대상의 절반가량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종사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업들이 인공지능(AI)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AI발 인력 조정이 본격화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향후 단순한 코딩 직무는 AI가 대체 가능한 만큼, 개발자의 역량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 더 보기

    해고되는 MS 직원 40%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AI가 촉발한 기술직 해고

    조선비즈

    해고되는 MS 직원 40%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AI가 촉발한 기술직 해고

    조회 333


    🍨'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 더 보기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비즈니스워치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1 • 조회 2,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