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1. 인간의 감정과 창의성을 흉내낼 수 있는 어떤 것이었지만, 지금은 그저 데이터에 불과할 뿐입니다. 2. 수많은 기업들이 맹목적으로 AI를 사용하는 이유는 그 자체에 마케팅 파워가 있기 때문입니다. 3. AI의 미래는 결국 인간의 두뇌에 관한 것입니다만, 요즘은 그 근본을 다 잊은 것 같습니다. 저자는 AI 업계에서 3년을 일하고 AI라는 단어 자체와 요즘의 흐름에 대해 깊은 회의를 느꼈습니다. 이 글은 AI의 시작과 요즘의 AI가 얼마나 다른 의미로 쓰이고 있는지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하게 합니다. 미래를 향한 황금열쇠, 만능의 키워드처럼 쓰이고 있는 그 단어의 기반은 결국 데이터라고 저자는 썼습니다. 진짜 AI, 시작은 결국 인간의 뇌를 향하고 있는 것이었죠.

내가 AI 업계를 떠난 이유 5가지 | 요즘IT

Wishket

내가 AI 업계를 떠난 이유 5가지 | 요즘IT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29일 오전 2:4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프로젝트에 적용할 만한 기술 스택

    초보자라면, 프로젝트를 위한 기술 스택을 선택할 때 머리를 짜낼 것입니다. 지난 20년 동안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고, 새로운 언어와 프레임워크, 기술들이 등장했습니다. 그래서 제대로 된 기술 스택을 고르는 것은 더 까다로워 졌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초보 개발자가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가장 적합한 기술 스택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문서를 가져왔습니다. 1️⃣ LAMP 스택 📌 Linux - 무료 오픈소스 운영체제 - 거대한 개발자 커뮤니티와 훌륭한 문서 소유 - Linux대신 Wind... 더 보기

    Top Tech Stacks to Consider for Your Software Project

    Medium

    Top Tech Stacks to Consider for Your Software Project

     • 

    댓글 1 • 저장 238 • 조회 7,439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19 • 조회 3,325


    야 걔 놀고 있대 I 중년 재취업 비밀. 노하우

    ... 더 보기

    프론트엔드의 역사 with React,Typescript,Next.js

    개발을 아예 모르거나 다른 개발은 알고있지만 프론트엔드와 웹에대한 지식은 없는 분들에게 프론트엔드의 기술스택이 나온 이유를 쉽게 설명하기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 더 보기

    《오늘 하루 문득 든 생각》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599


    무너지고 있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직군의 경계에 대한 고찰

    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3,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