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지식이 아니라, ‘취향’이 자본이 되는 시대입니다> 1. (흔히) ‘감각적이다’, ‘센스 있다’는 말은, 좋은 것을 보고 (그게 왜 좋은 지를) 표현할 줄 알며, 그것들을 재조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때 주로 사용합니다. 2. 그리고 감각이 좋다는 건 (곧) ‘좋은 취향을 지녔다’의 의미가 되기도 하는데요. (따라서) 좋은 취향이란, '감각적 경험에 의해 누적된 그 사람만의 물리적·비물리적 선호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 3. 반대로, 나쁜 취향은 자신이 무엇을 선호하는 지 전혀 모르고, 느끼려고 하지도 않은 채 남의 취향을 자기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을 말하죠. 4. 사회가 성숙해지면, 물적 자본 외에도 관계 등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이 커집니다. 5. (그렇게 사회가 발전하면) 천편일률적이 아닌 소비가 아닌, 다양한 소비와 경험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기획’이 중요해지고, 그 모티프로 ‘누군가의 취향’이 필요해지는 것이죠. 6. 좋은 취향을 키우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각을 열고 집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땐 좀 예민해져도 됩니다. 예민하는 것은 ‘감각의 섬세함’을 표현하는 말이니까요. 자신의 감각으로 좋고 싫음을 느끼고 이를 표현하는 것을 쌓아가는 과정이 곧 취향을 만드는 길입니다. 그러니 예민해지는 걸 두려워하지 마세요. 7. 이때 중요한 것은 자신이 느끼는 것을 말이나 글로 표현해 보는 겁니다. 가능하다면 가까운 사람들과 각자의 느낌을 공유해도 좋습니다. 이 모든 과정이 감각을 확장하는 것이니까요. 8.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의 시대를 지나, 지금은 취향이 곧 자본이 된다는 시대입니다. 이런 시대에는 ‘좋은 취향과 자기 콘텐츠’를 가진 사람이 자본가이고, 그렇기에 수많은 사람들이 좋은 취향과 자기 콘텐츠를 갖고 싶은 열망을 가지는 겁니다.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4일 오전 3:52

함께 읽은 게시물

여러분 PostgreSQL 프로시저는 Python, JavaScript은 물론 Perl, Java, Lua 등도 사용할 수 있답니다~* 대부분 구식🤭 MySQL만 쓰셔서 모르시겠지만.. (도망간다)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 더 보기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