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스트리밍 시장이 미국 음악 소비 시장의 80%가 됐다는 소식이에요.  1.2010년에는 한자리수였어요. CD나 카세트테이프 등 물리적인 음악 소비 시장이 전체의 50%를 넘었고 다운로드는 그 다음이었어요. 10년만에 크게 변한 셈입니다. 2.유료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자도 처음 시작할 때보다 60배 넘게 늘었고요.   앞으로의 이슈는 현재 구독자를 유지하는 것이에요.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서비스들은 여러 방법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번들이에요. 아마존은 프라임서비스로 영상과 음악을 묶고, 스포티파이는 훌루와 번들 서비스를 합니다.   미국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자 및 시장점유율이 크게 증가했는데요. 다음 10년은 어떤 변화가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Music Streaming Jumped to 80 Percent of the U.S. Market by the End of the Decade

Gizmodo

Music Streaming Jumped to 80 Percent of the U.S. Market by the End of the Decade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2일 오전 12:2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 더 보기

    DB 프로시저 싫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Lambda/Serverless Function 이라고 생각해보십시오! 사실상 Serverless Function이랑 똑같은 것. Serverless Function도 싫어하시면 린정.

    조회 2,343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

    🙉 달레의 찐팬이 되어주실래요? 💕

    ... 더 보기